![](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15/20220815134217209137.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 등록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산 전기상용차(버스·화물) 판매는 지난해 상반기 159대에서 올해 상반기 1351대를 기록하며 같은 기간 대비 749% 증가했다.
협회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모델을 판매량 증가 요인으로 꼽았지만 국내산과 수입산에 이렇다 할 차별을 두지 않고 있는 보조금 정책이 중국산 점유율을 높인 핵심 요인으로 봤다. 그 덕분에 국내 전기상용차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은 작년 1.1%에서 올해 6.8%로 급증했다. 완성차 양대 시장인 중국과 미국은 자국 전기차에 유리한 노골적인 보조금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과 유럽 역시 자국 전기차를 우선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중국산 전기버스는 상반기에만 436대를 판매해 시장점유율이 48.7%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 전기버스 출시 모델 수는 국산 9종에 수입은 20종으로 2배 이상 차이 나며 수입 모델이 내수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15/20220815134627990185.png)
[자료=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편 올해 상반기 자동차 내수 판매는 대수 기준으로 2014년 이후 가장 적었다. 반면 금액 기준으로는 역대 둘째로 높아 전반적으로 차량 가격 상승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내수 판매는 대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92만4000대에서 81만8000대로 11.5% 감소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하는 데 그쳤다.
국산차와 수입차 판매는 대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감소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국산가 3.4%, 수입차가 2.6% 감소하는 데 그쳤다. 평균 판매 가격은 전기차와 SUV 등 고가 차량에 대한 수요 집중으로 약 3900만원에서 약 4200만원으로 9.3% 상승했다. 국산차는 약 3200만원에서 약 3500만원으로, 수입차는 약 6900만원에서 약 7800만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6%, 12.2% 증가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15/20220815134709312664.png)
[자료=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정만기 KAMA 회장은 “지금까지 국내 수요는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였지만 금리 인상과 소비자 구매력 약화 등으로 향후 소비심리 위축이 우려된다”면서 “정부는 노후차 교체 지원 등 내수 진작책 마련이 필요하며, 특히 전기상용차 시장에서 점유율이 급증하고 있는 중국산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입차와 국산차에 보조금을 공평하게 지급하는 원칙은 지켜나갈 필요는 있지만 자국 내 차별 대우를 하는 중국 등 일부 국가 보조금 정책에 상응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15/20220815134801392351.png)
[자료=한국자동차산업협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