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전북도청]
이번 협약은 두 기관의 전문성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ESG)’ 가치를 확산하고, 식량안보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지와 기업이 함께 혁신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저탄소 식생활 캠페인 ‘코리아 그린푸드데이’ 추진 및 홍보 △기후위기 등에 따른 식량안보 강화 △로컬푸드 등 지역단위 먹거리 선순환 체계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상생 실천 △농수산식품거래소와 전북생생장터 간 온라인 협력을 통한 산지와 수요기업 연계 등에 대해서 협력키로 했다.
김관영 지사는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실천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 도민들께서도 가정과 직장 등에서 저탄소 식문화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기 부여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농지 투기 억제…전라북도 농지위원회 구성·운영

[사진=전북도청]
도에 따르면 농지위원회는 지역농업인, 지역소재 농업기관·단체 추천인, 비영리민간단체 추천인, 농지전문가 등으로 구성됐으며, 주된 역할은 농지취득자격을 심사하는 것이다.
농지를 취득하려는 자가 심의대상에 해당될 경우, 농지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야만 농지취득자격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에 농지취득자격증명서 발급의 객관성 확보와 농업인 중심의 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