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 산업연구원이 최근 우리나라 물가가 치솟은 것은 에너지·식품 등 수입물가 상승에 기인한 '비용 인상형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28일 산업연이 펴낸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국내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기준 33%가 넘고, 수입물가의 생산자물가 상승률 기여율은 73∼8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비료·농산물 등 식품과 에너지 등 수입물가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주도하는 비용 인상형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라는 뜻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올해 수입물가 상승은 환율 탓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올해 1∼6월 평균 전체 수입물가 상승의 3분의1가량이 환율 상승 때문이라고 봤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수입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비용 오름폭과 국내 가격 상승 폭은 품목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석유·석탄 제품은 가격 상승률이 비용 상승률보다 30%포인트(p) 이상 높았다. 반면 공공부문 비중이 높은 전력과 가스는 20%포인트 이상 낮았다.
보고서는 수입 에너지 가격 변화가 생산자물가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했다. 산업연 분석 결과 수입물가가 모든 품목에서 10% 오른 때보다 수입 에너지값이 인상돼 전체 수입물가가 10% 상승한 경우가 국내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약 1.5배 컸다.
수입물가에 관한 국내 물가 민감성도 점점 높아졌다.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 간 교차상관계수는 1990∼2007년 0.830에서 2008∼2022년 0.936으로 올라갔다. 같은 기간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 간 교차상관계수는 0.336에서 0.816으로 뛰었다.
이는 우리 경제 대외의존도가 높아지고 글로벌화·디지털화·금융화로 충격 전파 속도가 빨라진 데다, 금융위기 이후 국제유가를 비롯한 수입물가 변동성에 확대한 영향이라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보고서는 경제위기가 생기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수입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다만 돌발변수가 없다면 국제유가 진정과 세계 경기 둔화 등으로 이 같은 인플레이션은 하반기부터 점차 완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번 인플레이션같이 수입물가 변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 전통적인 금융정책과 더불어 환율 관리를 위한 정책적 노력도 긴요하다"고 제언했다.
28일 산업연이 펴낸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국내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기준 33%가 넘고, 수입물가의 생산자물가 상승률 기여율은 73∼8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비료·농산물 등 식품과 에너지 등 수입물가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주도하는 비용 인상형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라는 뜻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올해 수입물가 상승은 환율 탓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올해 1∼6월 평균 전체 수입물가 상승의 3분의1가량이 환율 상승 때문이라고 봤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보고서는 수입 에너지 가격 변화가 생산자물가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했다. 산업연 분석 결과 수입물가가 모든 품목에서 10% 오른 때보다 수입 에너지값이 인상돼 전체 수입물가가 10% 상승한 경우가 국내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약 1.5배 컸다.
수입물가에 관한 국내 물가 민감성도 점점 높아졌다.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 간 교차상관계수는 1990∼2007년 0.830에서 2008∼2022년 0.936으로 올라갔다. 같은 기간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 간 교차상관계수는 0.336에서 0.816으로 뛰었다.
이는 우리 경제 대외의존도가 높아지고 글로벌화·디지털화·금융화로 충격 전파 속도가 빨라진 데다, 금융위기 이후 국제유가를 비롯한 수입물가 변동성에 확대한 영향이라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보고서는 경제위기가 생기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수입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다만 돌발변수가 없다면 국제유가 진정과 세계 경기 둔화 등으로 이 같은 인플레이션은 하반기부터 점차 완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번 인플레이션같이 수입물가 변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 전통적인 금융정책과 더불어 환율 관리를 위한 정책적 노력도 긴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