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분당서울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세계최초 대규모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수면무호흡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 관련 정책을 만드는데 활용될 전망이다.
수면무호흡증이란 잠을 자는 동안에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거나 상기도가 자주 좁아지면서 호흡을 방해하는 수면장애 증상으로, 수면의 질을 낮춰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를 유발하는 증상이다.
문제는 수면 중에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는 이를 인지하기가 어렵고 장기간 방치할 시 치매·인지장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고혈압,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는 만큰 조기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이에 윤창호 교수팀은 장기간·대규모 추적관찰을 통해 수면무호흡증이 성인 뇌구조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는 성인 1110명을 정상군(1, 2차 음성), 호전군(1차 양성, 2차 음성), 발생군(1차 음성, 2차 양성), 지속군(1, 2차 양성)으로 분류해, 1차(2011년~2014년)와 2차(2015년~2018년) 등 4년 간격으로 뇌-자기공명영상(뇌-MRI)와 신경인지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 수면무호흡증 발생군에서는 집중력과 시각정보처리 기능과 관련 뇌영역에서 손상을 확인한 반면에 수면무호흡증 호전군에는 손상된 시각기억 경로의 회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수면무호흡증 지속군에서는 시각기억과 관련된 뇌손상이 발견됐고, 이러한 변화는 60세 이상과 남성에게서 더욱 잘 드러났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수면무호흡증을 조기발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뇌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치매 등 인지장애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초 대규모 인구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함으로써, 수면무호흡이 뇌기능과 뇌백질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낸 점에서 높은 학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편 윤창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한다면 예후가 좋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라며,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인지장애의 발생을 낮추기 위해 적극적인 진료와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