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청에서 ‘비상경제 중심 추석종합대책’을 주제로 8월 도정 열린회의를 열고 비상경제, 취약‧소외계층, 방역‧응급진료, 안전사고, 교통‧편의제공 등 분야별 대책을 점검했다.
김 지사는 “추석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고물가로 차례상 등을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물가에 특별히 관심 가져주시고 앞으로 점점 어려워질 경제 상황에 대비해 민생에 단단히 신경을 써주길 바란다”며 “특히 ‘수원 세 모녀’ 때 경험했듯이 도의 공무원들이 마음을 다해서 이번 추석에 취약계층에 도움이 되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도, 민생회복 적극 대응 나서...신용회복 버팀목 지원 등
김 지사는 이어 지난 1일 자로 본격 출범한 ‘경기도 민생대책 특별위원회(이하 ‘민생특위’)’와 함께 마련된 비상경제 중심 추석 종합대책 관련 실국별 보고를 받고 차질 없는 진행을 당부했다.이에따라 도는 비상경제 특별대책으로 △경기도 신용회복 버팀목 지원 9개 사업 905억원 △소비자‧가계 물가안정 2개 사업 1251억원 △농‧수‧축산 물가안정‧수출기업 경쟁력 강화 4개 사업 203억원 등 3개 분야 15개 사업에 2359억원을 신속히 집행해 추석 민생회복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소비자·가계 물가안정 분야에서는 △지역화폐 발행지원(1017억원) △경기미 및 로컬푸드 할인 지원(234억원)을 한다.
특히 지역화폐 발행지원은 지역화폐 사용시 10%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경기미 및 로컬푸드 할인은 마트나 온라인몰, 로컬푸드직매장에서 경기미를 포함한 경기농축산물 구입시 1인 2만원 한도로 20~30% 할인쿠폰을 주는 사업이다.
농수축산 물가안정 및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 분야에서는 △비료가격 인상분의 80% 지원(179억원) △축산농가에 조사료 종자비 등 지원(1억 2000만원) △월동꿀벌 피해 양봉농가에 꿀벌 입식비 지원(18억원) △단기 수출보험 지원(4억 원) 등이다.
추석 물가안정과 서민경제 보호 위해 ‘도-시군별 물가대책반’ 운영
또한 도는 추석 물가안정과 서민경제 보호를 위해 지난 7월 18일부터 추석 명절 ‘도-시군별 물가대책반’을 운영 중으로 시군 누리집에 가격을 공개하는 등 민관합동 물가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추석 명절에 소비증가가 예상되는 제수용품 등 농수산물에 대해 원산지표시 점검과 안전성 검사도 진행한다.
‘세모녀’ 사건 재발 방지 대책 마련...긴급복지 전용 콜센터 운영 등
아울러 도는 추석 연휴 동안 또다른 ‘세모녀’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존 120경기도콜센터와 연계한 긴급복지 전용 콜센터를 운영한다.콜센터에 복지·보건 공무원을 배치해 보다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기존 운영하던 복지사각 발굴·지원 합동협의체(TF)를 자살예방, 도민홍보 등 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안으로는 GTX 플러스 국회토론회 개최, 신속한 재개발‧재건축을 위한 현장 자문‧점검 확대,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이용률 확대, 지방도 터널 대형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강화 등을 논의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정부의 2023년 지역화폐 지원예산 전액 삭감 결정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민생 해결을 위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예산이 반영됐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