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리보세라닙(VEGFR-2 저해)과 중국 항서제약의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PD-1 저해) 병용 임상3상 결과에 따르면 1차 유효성 지표인 mOS(중앙값)는 22.1개월로, 대조군인 넥사바(성분 소라페닙) 15.2개월보다 약 6.9개월 길었다. 해당 결과는 유럽암학회(ESMO 2022) 개최 하루 전날 공개됐다.
mPFS(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도 각 5.6개월, 3.7개월로 차이가 났다. ORR(객관적반응률)은 각 25.4%, 5.9% 그리고 DCR(질병통제율)은 각 78.3%, 53.9%, DoR(반응기간)은 14.8개월, 9.2개월로 차이를 보여, 모든 수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충족(P<0.0001)했다.
특히 위험비(Harzard Ratio)는 전체 생존기간에서 0.62, 무진행생존기간에서 0.52로, 환자의 사망 위험을 40~50%가량 크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승인된 약물의 임상 결과 대비 가장 우수한 수치다.
반면 함께 공개된 키트루다와 렌비마 병용 임상의 경우 대조군 대비 유효성 입증에 실패했다. 키트루다 조합의 임상 결과와 리보세라닙 조합의 임상 결과는 현지시간 기준 10일 오전 8시 30분(한국시간 오후 3시30분)부터 진행되는 위장, 소화기관 관련 오프닝 세션에서 연이어 발표되며, 이후 두 약물군에 대한 토론이 이어질 예정으로 해당 발표에 학계와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리보세라닙 병용 3상 임상시험은 미국 FDA 등으로부터 국가별 환자구성 등에 대한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승인 받아 미국, 유럽, 중국, 한국 등을 포함 13개국에서 5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리보세라닙은 저분자화합물(small molecule)의 경구용 제제로 통상 간암 환자들이 오랜 기간 만성간염, 간경변 등의 투병기간을 거쳐 체력 저하가 심한 점을 고려 시 집에서 간편히 복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도 있다. 또 아직 승인 전으로 약가가 정해지진 않았지만 아바스틴 조합의 복용에 연간 32만불 이상이 소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쟁 제품 대비 높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HLB는 ESMO 발표와 함께 신약승인을 위한 허가 절차를 병행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 FDA에 Pre-NDA(신약허가신청 전 사전협의) 미팅 신청을 완료해 늦어도 10월 중순 내로 미팅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은 모두 미국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아 NDA 절차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인근 HLB 바이오전략기획본부 부사장은 “간암은 치료제 개발이 매우 어려운 난치성 질환으로 모든 암종 중 발생비율이 6번째로 높은 반면 5년 생존율은 전체 암 평균의 절반 수준인 38% 정도에 그쳐 다양한 조건의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혁신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분야”라며 “리보세라닙의 임상결과 높은 반응률과 함께 환자의 생존기간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이 확인된 만큼 조기에 신약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