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시에 따르면 분야별 대책은 △피해 현황 조사 △금융 지원 확대 △법률 상담과 매뉴얼 제공 등이다.
우선 '피해 현황 조사'에서는 이달 중 정부가 설치할 예정인 '전세사기피해지원센터'와 지속적으로 협업하고 정보 공유를 요청해 깡통전세 실제 피해 사례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축적한다. 내년부터는 깡통전세와 관련한 현황과 실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깡통전세와 관련한 현장 상황을 더욱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단속 사고 사례는 실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추진해 깡통전세 사고 발생 위험지역 등을 시민이 쉽고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법률상담·매뉴얼도 제공한다.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기 위해 법적 대응이 불가피할 때 상황에 따라 어떤 조치가 가능한지 집중적인 상담을 진행한다.
절차 진행을 위해 서식 작성이 필요할 때는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관련 서식 매뉴얼을 '서울주거포털'에 이달 중에 게시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최근 정부에서도 전세사기, 깡통전세 등 임차인의 전 재산인 보증금을 지켜드리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 중“이라며 ”실제 피해가 발생했을 때에는 시민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서울시도 정부 대책 시행 시기를 고려하여 적극 협력해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