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는 14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 앞에서 금융공공성 사수를 위한 금융노조 9·16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 일대에서 총파업 집회를 연 뒤 용산 대통령 집무실 인근인 삼각지역까지 행진한다.
박홍배 금융노조위원장은 "총파업을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다"며 "사상 최초로 상암이나 목동 월드컵 경기장이 아닌 거리에서 진행하고 용산 대통령실까지 거리 행진을 하면서 시민들께 저희 목소리를 전달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번 총파업 배경은 ‘임금 인상률’과 ‘인력 유지와 영업점 폐쇄 중단’에 대한 노사 의견 차다. 노조는 당초 올해 임금·단체협약 교섭에서 △임금 6.1% 인상 △주 36시간(4.5일제) 근로 △정년 연장·임금피크제 개선을 요구했다. 사측(금융산업협의회)은 임금 인상률 1.4%를 제시했다. 다만, 총파업 명분을 높이기 위해 막판까지 1대1 교섭 진행 가능성을 남겨뒀다. 이날 임금 인상률도 기존 6.1%에서 5%대로 낮췄으며 주 4.5일제 근무도 시범적으로 실시하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나머지 시중은행 조합원 참여율도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 노조도 각 영업점 분회장을 중심으로 파업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실제 참가자는 영업점 개수(878개)에도 못 미칠 전망이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노조 대의원 수백 명만 파업에 참가할 것으로 금융권에선 보고 있다. 2016년 금융노조 총파업 당시에도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 파업 참가율은 2.8%에 불과했다.
참가율이 저조한 이유는 금융노조 총파업에 대한 세간의 곱지 않은 시선 때문이다. 금융사 이자이익 증가에 따라 부정적 여론이 커질 대로 커진 상황에서 '평균 1억 연봉' '1000억원대 성과급 잔치' 등으로 금융노조 쟁의행위가 집단 이기주의로 비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직원 횡령, 이상 외환거래 등 각종 금융사고 발생 또한 총파업 명분을 희석시키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공기관 혁신안에 반대하는 KDB산업은행이나 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이 대부분 자리를 채울 것"이라면서 "15일부터 접수하는 정책금융상품 '안심전환대출' 업무 차질 우려가 제기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지만 그럴수록 총파업 당위성은 더욱 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높은 대출금리로 고통받고 극단적 선택까지 고려하는 서민들이 수백만명이고, 미연준 기준금리 폭등으로 한국도 금리 올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렸는데 가계대출 때문에 제 때 금리를 올릴 수도 없는 진퇴양난, 국가적 풍전등화 상황에서 민초들은 죽어가는데, 지들은 일은 더 적게 하고 돈은 더 많이 받겠다고? 아 복근이 강철인가보네요? 뭐 저야 빚 한푼 진 적 없는 사람이지만, 제 주변을 보니 누구 하나 저승길 길동무로 삼으려는 녀석들 꽤 있던데, 뭔가 쑥 들어오면 배에 꽉 힘주시는거 미리 연습하시길 ㅋㅋ. 예대마진으로 호의호식 좋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