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하위 수준인 배당성향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 기업의 낮은 수익성과 성장성, 취약한 기업 지배구조 등도 코라이 디스카운트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5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세미나'에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의 주주환원비율은 2%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이는 주요 45개국 중 최하위"라고 설명했다.
낮은 주주환원비율은 코리아디스카운트로 이어지고 있다. 자본연이 45개국 3만2000여개 상장기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상장기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선진국의 52%에 불과했다. 신흥국과 아시아태평양국가 대비로도 각각 58%와 69% 수준에 그쳤다.
김 연구위원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시점과 무관하게 일관되게 나타났다"며 "의료 섹터를 제외한 모든 섹터에서 관찰됐다"고 덧붙였다.
기업지배구조도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의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평가가 139개국 중 90위권 수준이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지배구조 관련 제도는 갖춰져 있지만 소액주주 보호와 이사회 등에 대한 평가는 굉장히 낮다"며 "취약한 기업 지배구조가 코리아디스카운트를 야기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김동환 삼프로TV 대표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은 합리적인 투자자로 진화하고있지만 기업의 거버넌스와 주주환원 정책은 정체돼 있다. 여기서 오는 괴리가 코리아디스카운트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기업 거버넌스 선진화를 통한 투자자 배려와 주주환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 기업들도 저성장 기조에 적응해야 한다"며 "여전히 기업 내부에 자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기업가들의 고정관념이 주주환원정책을 제약하고 있다. 저성장 국면으로의 전환과 기업가들의 주주환원정책에 대한 생각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정준혁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인수합병(M&A) 시장에서 한국 기업은 저평가를 받지 않는다. 주식시장에서만 저평가되고 있다"며 "지배권의 가치가 상당히 높아 전체 기업가치와 시가총액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주주대표소송 확대를 통해 소액주주의 영향력을 높여야 한다"며 "높은 회전율도 낮은 배당에서 기인했다. 일반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개선하려면 배당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