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업계가 단가 인상 속도 조절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자 국회를 찾아 관심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번 국회 방문을 계기로 다음 달 4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시멘트 업체들의 시장 독과점 여부 등이 논의될지 관심이 쏠린다.
배조웅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과 이성열·김영석 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윤택진 집행위원장은 26일 국회 본관에서 윤관석 산자중기위원장과 김민기 국토위원장을 만나 중소 레미콘 업계 현안과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비대위는 이 자리에서 최근 시멘트 업체들의 일방적인 가격 인상으로 중소 레미콘 업계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호소했다. 시멘트 업체들이 이달에 통보한 가격 인상분을 포함하면 최근 1년간 상승 폭은 최대 35%에 달한다. 시멘트 업체들은 지난해 7월 공급 단가를 5.1%, 올해 2월 17~19% 올린 데 이어 이달 12~15% 추가 인상을 통보했다.
배조웅 회장은 “향후 건설 현장의 공사 차질과 민생 경제에 부작용을 초래하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지지 않고, 공정한 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관련 업계 간 소통과 상생협력 등을 위해 국회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윤관석 산자중기위원장은 “사태가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산자위 차원에서 다양한 각도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산업 생태계의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한 납품 단가 연동제의 조속한 법제화를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 국토위원장은 “시멘트·레미콘·건설사 간에 반복되는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정한 거래 환경 조성과 상생 협력을 위해 국토위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찾아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레미콘 업계가 시멘트 시장의 독과점과 불공정 거래에 대해 지적하고 있는 만큼 시멘트 업체 대표들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될지도 관심사다. 비대위에 따르면 시멘트 시장은 쌍용‧한일‧아세아‧삼표‧성신 등 5개사가 전체 중 94%를 차지하는 구조다.
이 때문에 레미콘 업계는 시멘트 업계가 가격을 올리거나 공급량을 조절하면 꼼짝없이 끌려갈 수밖에 없으며 시멘트 공급을 볼모로 협박과 강요까지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 레미콘 업체 대표는 “구매자인데도 시멘트를 원하는 만큼 살 수 없고 다른 시멘트 회사로 공급 업체를 바꿀 수도 없다”고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