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2026년부터 탄소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항공유를 사용한다. 지구촌 화두인 탄소중립 실현과 항공업계의 지속가능한 연료 사용을 위해 앞장서겠다는 취지다.
대한항공은 최근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쉘(Shell)과 지속가능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SAF) 구매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향후 5년 동안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 지역 공항에 SAF를 수급받는다. SAF는 석유, 석탄 등 기존 화석 자원이 아닌 폐식용유, 생활 폐기물, 산업부생가스 등 대체 원료로 생산된 항공유다.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 걸쳐 탄소 배출량을 기존 항공유보다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SAF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항공업계의 탄소 감축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AF 생산과 공급 증대를 위한 정책 도입부터 투자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SAF 생산가격이 기존 항공유보다 높고 생산시설도 부족해 예상수요보다 공급량이 부족한 형편이다. 대한항공은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SAF 사용에 앞장서면서 관련 인프라 구축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번 SAF 공급은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지역을 우선으로 한다. 대한항공은 향후 유럽, 미국 등 전 세계 지역에서도 SAF를 수급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시카고~인천 구간에 SAF를 사용했다. 올해 2월에는 파리~인천 구간 정기편 노선에도 SAF를 도입했고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버스, 에어리퀴드와 ‘항공업계와 공항의 수소 공급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는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사용기반 구축을 위해 손을 잡았고 SK에너지로부터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할 탄소중립 항공유를 구매했다.
대한항공 측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을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협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최근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쉘(Shell)과 지속가능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SAF) 구매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향후 5년 동안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 지역 공항에 SAF를 수급받는다. SAF는 석유, 석탄 등 기존 화석 자원이 아닌 폐식용유, 생활 폐기물, 산업부생가스 등 대체 원료로 생산된 항공유다.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 걸쳐 탄소 배출량을 기존 항공유보다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SAF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항공업계의 탄소 감축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AF 생산과 공급 증대를 위한 정책 도입부터 투자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이번 SAF 공급은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지역을 우선으로 한다. 대한항공은 향후 유럽, 미국 등 전 세계 지역에서도 SAF를 수급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한편 대한항공은 지난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시카고~인천 구간에 SAF를 사용했다. 올해 2월에는 파리~인천 구간 정기편 노선에도 SAF를 도입했고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버스, 에어리퀴드와 ‘항공업계와 공항의 수소 공급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는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사용기반 구축을 위해 손을 잡았고 SK에너지로부터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할 탄소중립 항공유를 구매했다.
대한항공 측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을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협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30/20220930093632457624.jpg)
대한항공 보잉787-9 이륙 모습 [사진=대한항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