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토부,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 추진안 마련…DRT 도입·특별대책지구 지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22-10-12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반 광역버스 디자인도 '리뉴얼'…대광위 광역버스 간 연계성 강화

경기 광역버스들이 서울 송파구 잠실광역환승센터 정류장에 정차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12일 신도시 등의 광역교통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운행노선·횟수 등의 탄력적 운영이 가능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을 도입하는 등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대도시권 내 시·도를 운행하는 일반 광역버스(직행좌석형)의 국가사무 전환에 따라 전문기관 용역과 여론 수렴 등을 거쳐 ‘일반 광역버스 디자인’을 새롭게 만들었다.
 
국토부는 그동안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광역교통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1997년부터 광역교통개선대책 제도를 도입해 지구별 개선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업 지연 등으로 입주시기와 광역교통시설 확충시기 간 차이가 발생하는 등 교통불편이 여전한 상황이다.
 
특히 주요 철도, 도로가 개통되기 이전 입주 초‧중반 시기와 광역교통 수요가 집중되는 출‧퇴근 시간대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일부 지구는 개선대책이 완료된 이후에도 교통난이 지속되고 있다.
 
개선대책 사업 지연으로 인한 교통불편 완화를 위해 2020년 ‘특별대책지구’ 지정 제도를 도입했으나 아직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대광위는 광역교통 불편 완화를 위해 개선대책이 수립된 128개 모든 지구를 대상으로 입주현황 및 개선대책 이행현황, 교통서비스 현황, 지자체 의견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128개 중 91개 지구의 개선대책이 진행 중(37개 지구 완료)이며, 특별대책지구 지정요건에 해당하는 지구는 39개 지구이다.
 
수도권은 대부분 교통축의 첨두시 혼잡도(LOS)가 E~F 수준이며 첨두시 광역버스 혼잡률은 평균 116% 수준(130% 이상도 20곳)으로 혼잡하고, 지방권은 승용차 대비 대중교통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국토부는 지구별 단기 보완대책 마련 광역교통특별대책 지정요건에 해당하는 지구 및 교통서비스 하위 지구 등 교통불편 개선이 시급한 지구 37곳에 대해서는 대중교통 중심의 종합적인 단기 대책을 마련, 집중 관리한다.
 
이들 지역에는 광역버스 증차·신설, 출퇴근 전세버스 투입, 2층 전기버스 도입 등 광역버스 운행 확대를 통해 주요 도시 간 광역통행 편의를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신속한 대책 마련을 위해 지구별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단기대책 마련을 추진하고, 협의에 의한 대책 마련이 곤란한 경우 단계적으로 특별대책지구 지정을 통해 보완대책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권역별 협의체를 통해 광역버스 증차, 출퇴근 전세버스, 2층 전기버스 등 광역버스 증차 수요를 발굴하고, 별도의 광역버스(수도권) 협의체 운영을 통해 입석 현황을 분석하여 광역버스 증편 계획 시 우선 검토한다.
 
광역교통개선대책에 입주초기 대중교통 지원이 미반영된 남양주진접2, 양주광석, 인천용현, 평택화양, 용산국제, 부산에코, 창원내곡, 울산다운2, 김해일반 등 9개 지구는 지구 규모에 따라 적정 소요(30~150억원)가 반영되도록 개선대책 변경을 추진한다.
 
한편 국토부는 대광위 면허대상인 일반 광역버스에 대해 이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하기 위해 차별화된 디자인(안)을 마련했다. 디자인은 국민 선호도 조사(4월), 제작사·버스업계 의견수렴(6~7월), 지자체 등 관계기관 설명회(8월) 등을 거쳐 디자인을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이번 디자인은 광역버스에 통용되는 빨간색에 M버스 물결무늬를 조합해 속도감과 세련미를 부각하는데 주안점을 뒀으며, M버스와의 연계성도 고려했다.
 
신규 디자인은 2022년 9월 이후 면허발급되는 노선부터 우선 적용할 계획이며, 기존 운행 중인 노선은 차량 교체 기간 등을 감안해 단계별로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할 예정이다. 빠르면 10월 셋째 주부터 수도권에서 운행 중인 차량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0월 현재 디자인 적용 대상은 12개 노선이며 11월 11일 시흥 6502번 노선을 시작으로 12월 말까지 12개 모든 노선에 개선된 디자인 적용을 완료할 계획이다.

강희업 대광위 상임위원은 “도로·철도 등 시설은 확충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해 이번에는 주민들의 출퇴근 불편을 단시간 내에 완화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면서 “도로·철도 등 중장기 시설사업도 추가 발굴하여 추진하는 등 많은 국민들이 여유로운 일상과 쾌적한 출퇴근 시간을 누릴 수 있도록 신도시 등의 교통문제 개선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