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사진=김수흥 의원 페이스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17/20221017135057581735.jpg)
[사진=김수흥 의원 페이스북]
김 의원은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국정감사를 통해 지금까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추진돼 온 정부의 공항 추진 방식을 지적하며, 특히 올 6월에 2029년 개항을 목표로 기본계획 고시가 확정된 새만금국제공항의 재원조달 방식에서 국토부의 이중적인 행태를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 공항건설은 일관되게 전액 국비로 추진해 왔다”며 “무안, 청주, 양양 국제공항은 전부 국비로 재원조달을 통해 건설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전북의 관문 역할을 하는 새만금국제공항에 대해서만 한국공항공사의 투자 참여를 허용했다”며 새만금국제공항의 건설 방식에 심각한 우려를 밝혔다.

또한 한국공항공사가 새만금국제공항 터미널 건설비용을 부담해도 현행법상 공항시설이 국가에 귀속돼 한국공항공사가 자율적으로 서비스 개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항 운영의 활성화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김수흥 의원은 “새만금국제공항 추진과 건설 과정에서 불합리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고쳐나가고, 개항 후 효율적인 공항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면 한국공항공사법과 공항시설법 개정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의원은 “국가기간시설인 인천공항을 국민정서상 반대에도, 민간이나 외국 자본에 지분을 넘기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인천공항 민영화 발언이 반복적으로 나오는 계기가 수상하다”며 “윤석열 정부의 인천공항 민영화에 대한 정확한 의중이 무엇이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