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경제 펀더멘털에 대해 충격을 완충할 정도로 강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그러면서도 통화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전면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국장은 25일 서울 중구 명동 한국은행에서 '글로벌 경제와 한국'을 주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전 세계 금융시장 여건이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정부의 조달비용 증대, 아시아 각국의 통화가치 절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시장 변동성이 커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크리슈나 국장은 외부 수요 약화에 따른 아시아 회복 지연 전망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상황에 대해 "에너지를 제외한 무역수지가 상당히 복원력이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교역조건 악화와 에너지 가격 상승, 우크라 사태로 충격이 가중됐지만 한국 무역수지는 안정세를 보이면서 점차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경상수지도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한국 경제의 우려 요인으로 '부채'를 꼽았다. 그는 "아시아 부채 누증 문제를 말씀드리면 과거 25%에서 38% 수준으로 크게 늘어났다"며 "금리 인상 사이클 속에서 경제성장 둔화와 부채에 대한 부실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가계부채의 경우 모기지 관련 부채이고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규제 등으로 리스크 자체는 적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공공·민간부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규칙(앵커)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크리슈나 국장은 장기화되고 있는 인플레이션 움직임과 관련해 한국은행이 전면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플레 대응을 위한 통화긴축정책이 성장 전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한은이 상충 관계에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그럼에도 정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대 인플레가 높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재정정책이 통화정책을 보완하고 뒷받침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취약층을 지원하더라도 예산에 대한 내용이 중립적일 수 있도록 그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구체화하고 정비하는 것이 리스크 고조 시점에서 중요하다"며 "한국의 경우 인플레 선제 대응 측면에서 잘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경제 상황에 있어서 파편화 리스크와 상흔효과가 현실화되지 않도록 전면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국장은 25일 서울 중구 명동 한국은행에서 '글로벌 경제와 한국'을 주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전 세계 금융시장 여건이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정부의 조달비용 증대, 아시아 각국의 통화가치 절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시장 변동성이 커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크리슈나 국장은 외부 수요 약화에 따른 아시아 회복 지연 전망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상황에 대해 "에너지를 제외한 무역수지가 상당히 복원력이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교역조건 악화와 에너지 가격 상승, 우크라 사태로 충격이 가중됐지만 한국 무역수지는 안정세를 보이면서 점차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경상수지도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한국 경제의 우려 요인으로 '부채'를 꼽았다. 그는 "아시아 부채 누증 문제를 말씀드리면 과거 25%에서 38% 수준으로 크게 늘어났다"며 "금리 인상 사이클 속에서 경제성장 둔화와 부채에 대한 부실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가계부채의 경우 모기지 관련 부채이고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규제 등으로 리스크 자체는 적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공공·민간부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규칙(앵커)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재정정책이 통화정책을 보완하고 뒷받침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취약층을 지원하더라도 예산에 대한 내용이 중립적일 수 있도록 그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구체화하고 정비하는 것이 리스크 고조 시점에서 중요하다"며 "한국의 경우 인플레 선제 대응 측면에서 잘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경제 상황에 있어서 파편화 리스크와 상흔효과가 현실화되지 않도록 전면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