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25/20221025215743636352.jpg)
조현동 외교부 1차관(왼쪽)과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10월 25일 도쿄 제국(데이코쿠) 호텔에서 열린 한·일 외교차관 회담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과 일본 외교차관이 양국 간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한·일 외교 차관은 25일 도쿄에서 양자 회담을 열고 북한의 위협적 도발에 대한 우려를 공감하면서 한·미·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이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90분간 양자 회담을 했다고 전했다.
조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국회 시정연설에서 한·미 연합방위태세와 한·미·일 안보 협력으로 대북 억제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을 강조했고, 모리 차관은 이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표명했다.
아울러 상호 비자 면제 재개 등 인적 교류를 위한 기반이 복원된 점을 평가하고, 교류 활성화를 위해 항공편 증대 등에서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양국 외교차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따른 역내 안보 문제 외에도 양국 간 주요 현안인 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민관협의회에서 논의된 것들이 일본에 충실히 전달됐다"며 "일본에 성의 있는 호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대법원의 배상 판결을 이행할 방법 등으로 거론되고 있는 대위변제나 이른바 '병존적 채무 인수' 방안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를 놓고 집약해서 논의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병존적 채무 인수'는 강제동원 채무자의 채무는 그대로 존재하되 다른 제3자가 새로이 동일한 채무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한편,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이 여러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소규모 다자간 협력을 하자는 데 대한 이야기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외교 차관은 25일 도쿄에서 양자 회담을 열고 북한의 위협적 도발에 대한 우려를 공감하면서 한·미·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이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90분간 양자 회담을 했다고 전했다.
조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국회 시정연설에서 한·미 연합방위태세와 한·미·일 안보 협력으로 대북 억제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한 점을 강조했고, 모리 차관은 이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표명했다.
양국 외교차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따른 역내 안보 문제 외에도 양국 간 주요 현안인 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민관협의회에서 논의된 것들이 일본에 충실히 전달됐다"며 "일본에 성의 있는 호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대법원의 배상 판결을 이행할 방법 등으로 거론되고 있는 대위변제나 이른바 '병존적 채무 인수' 방안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를 놓고 집약해서 논의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병존적 채무 인수'는 강제동원 채무자의 채무는 그대로 존재하되 다른 제3자가 새로이 동일한 채무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한편,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이 여러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소규모 다자간 협력을 하자는 데 대한 이야기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