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26/20221026141422170600.jpg)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26일부터 자금난에 빠진 증권사를 대상으로 3조원 규모의 추가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레고랜드로 촉발된 자금 시장 경색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26일부터 3조원의 추가 유동성 지원을 본격적으로 집행한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지난 25일 관계 기관들과 한국증권금융을 통한 증권사 유동성 지원 방안을 논의했으며 이를 통해 지원 대상 기준과 시행 방식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원안은 회사채 및 기업어음(CP)을 통해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증권사의 비우량 CP까지 매입 대상에 포함할 방침이다. 이들 증권사가 보증을 서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까지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증권 담보대출 시 담보로 제공할 수 있는 증권 범위에도 확대된다. 기존에는 국공채, 통안채, 은행채와 상장주식만 담보 가치로 제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우량 회사채(AA 이상)와 우량 CP(A1 이상), 예금형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중금채를 추가할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3일 20조원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채안펀드)와 비우량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지원 10조원 등 50조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신속히 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 PF 대출과 ABCP 차환에 어려움을 겪는 증권사에 대해 한국증권금융이 우선 자체 재원을 활용해 3조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