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자료=전경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31/20221031082346536960.png)
[자료=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1일 발표한 '기업대출 부실이 우려되는 5가지 징후'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대출의 부실 징후로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기업대출 △기업들의 대출 상환능력 악화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 △부동산 등 취약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비은행기관을 통한 대출 비중 증가 등 5가지 요인이 꼽혔다.
코로나19 이후 기업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09~2019년 말 기업 대출이 연평균 4.1%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9년 말~2022년 상반기까지 2년 반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에 달했다.
그 결과 기업 대출금액은 2019년 말 976조원에서 2022년 상반기 1321조3000억원으로 2년 6개월여 만에 35.4%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위기 전 10년 동안 증가한 대출액(324조 4000억원)보다 많다.
이미지 확대
![[자료=전경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31/20221031082410641618.png)
[자료=전경련]

이미지 확대
![[자료=전경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31/20221031082428618430.png)
[자료=전경련]
전경련은 대응책으로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법인세제 개선을 통한 세부담 경감 등을 제시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금융위기 때보다 금리가 더욱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어 기업들이 불어나는 상환부담을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금리인상 속도 조절, 세부담 경감뿐만 아니라 유사시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도 사전에 강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31/20221031082524246353.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