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02/20221102172702897948.jpg)
박진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해 조문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이태원 압사 참사로 희생된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 중 절반가량이 본국으로 운구를 희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외교부는 비용과 비자를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일 기자들과 만나 외국인 사상자 대상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화장을 해서 가시는 분들도 있고 국내에 안치해 달라고 부탁하는 사례도 있다. 절반 정도는 외국으로 운구를 희망하는 상황이다"라고 전했다.
이번 이태원 참사로 인해 이란과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등 총 14개국 국적의 외국인 26명이 사망했다.
당국자는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 가운데 7가족이 이미 한국에 입국했고 추가 입국도 예정됐다"라며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의 편의를 위해 입국 절차를 최대한 간소화하기 위한 조치도 법무부 등과 협조하고 있다"라고 했다.
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국가의 유가족에게는 전자여행허가(K-ETA)를 받는 절차를 면제했다. 비자가 필요한 국가에 대해서는 인천공항에서 도착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앞서 정부는 외국인 사망자에 대해 내국인과 동일하게 장례비 1500만원, 구호금 2000만원을 지급한다는 방침을 전한 바 있다. 이 당국자는 "유가족이 직접 오지 못할 경우 위임장을 통해 대리로 받을 수 있도록 했다"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정부는 한국에 합법체류 기간이 지난 외국인 사망자 2명에 대해서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본국 송환 비용을 포함한 장례비·치료비 및 구호금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외국인 부상자는 총 20명으로 파악됐다. 이날 오후 2시 기준 16명이 퇴원하고 4명이 병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2일 기자들과 만나 외국인 사상자 대상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화장을 해서 가시는 분들도 있고 국내에 안치해 달라고 부탁하는 사례도 있다. 절반 정도는 외국으로 운구를 희망하는 상황이다"라고 전했다.
이번 이태원 참사로 인해 이란과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등 총 14개국 국적의 외국인 26명이 사망했다.
당국자는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 가운데 7가족이 이미 한국에 입국했고 추가 입국도 예정됐다"라며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의 편의를 위해 입국 절차를 최대한 간소화하기 위한 조치도 법무부 등과 협조하고 있다"라고 했다.
앞서 정부는 외국인 사망자에 대해 내국인과 동일하게 장례비 1500만원, 구호금 2000만원을 지급한다는 방침을 전한 바 있다. 이 당국자는 "유가족이 직접 오지 못할 경우 위임장을 통해 대리로 받을 수 있도록 했다"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정부는 한국에 합법체류 기간이 지난 외국인 사망자 2명에 대해서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본국 송환 비용을 포함한 장례비·치료비 및 구호금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외국인 부상자는 총 20명으로 파악됐다. 이날 오후 2시 기준 16명이 퇴원하고 4명이 병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