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 7차 핵실험이 중국 20차 당대회 폐막일인 10월 22일부터 미국 중간선거가 펼쳐지는 11월 8일 중 감행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핵실험 대신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또 다시 '무력 시위'를 시작했다.
9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의 7차 핵실험과 관련해 현재 임박한 징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핵실험 시기로 예고된 기간은 지났지만 북한이 핵무력 완성 선언 5주년인 11월 29일을 전후로 핵실험을 감행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 시험발사에 성공한 지난 2017년 11월 29일 국가핵무력 완성을 선언했다. 올해가 선언 5년째인 만큼 북한이 5주년 행사를 통해 핵무력을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서 "오는 29일 전후로 핵실험이 없다면 올해를 넘겨 숨 고르기 시간을 더 길게 가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당초보다 핵실험 시기를 미룬 데에는 '미국 간 보기'뿐 아니라 중국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양 교수는 최근 북 핵실험이 일어나지 않은 것에 대해 "미국 중간선거 결과 간보기 뿐 아니라 중국이 강하게 반대 입장을 내비쳤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유엔 안보리 이사국인 만큼 북핵실험 제재에 관여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는 판단이다.
북한이 국제 정세를 고려해 핵 실험 시기를 늦출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핵무력 기술적 측면 완성도를 높이는 차원에서 핵실험 의지와 욕구는 분명히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국제사회 이목이 쏠린 상황 등으로 지금이 핵실험을 감행할 적절한 시점인가에 대해서는 북한의 고민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