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10/20221110172633164561.jpg)
[사진=쏘카]
쏘카는 올해 3분기 매출 1170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62% 늘었다.
쏘카는 이로써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각각 역대 분기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34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특히 쏘카는 올해 4분기 흑자 달성이 예상돼 2011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연간 기준 영업이익 흑자 달성이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쏘카 관계자는 "카셰어링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시장 지배력을 이용한 수익 개선으로 실적을 견인할 수 있었다"며 "3분기 기준 첫 분기 당기순이익 실현을 시작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순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3분기 쏘카의 카셰어링 시장 점유율은 77.8%로 지난해 말 73.6% 대비 4%p 이상 상승했다.
사업부문별 매출을 보면 지난 3분기 카셰어링 사업이 1120억원, 플랫폼주차서비스(모두의주차장) 14억원, 마이크로모빌리티(일레클) 3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카셰어링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성장한 차량 배달 서비스인 '부름' 서비스와 올해 7월 선보인 '쏘카존 편도' 서비스가 큰 폭으로 성장했다.
쏘카는 3분기 코레일과 제휴를 통해 코레일 앱에서 카셰어링 예약을 시작한데 이어 4분기에는 자사 앱에서 KTX 티켓 예약이 가능하도록 제휴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 4분기부터는 800만 카셰어링 이용고객에게 숙박, 액티비티 등 다양한 결합상품을 선보이며 이용 건당 매출 확대, 수익성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최대 1만9000여대의 차량을 직접 운영하는 카셰어링 사업은 규모의 경제를 이뤄내며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됐다"며 "국내외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쏘카의 독보적인 시장 경쟁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수익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쏘카는 이로써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각각 역대 분기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34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특히 쏘카는 올해 4분기 흑자 달성이 예상돼 2011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연간 기준 영업이익 흑자 달성이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쏘카 관계자는 "카셰어링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시장 지배력을 이용한 수익 개선으로 실적을 견인할 수 있었다"며 "3분기 기준 첫 분기 당기순이익 실현을 시작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순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3분기 쏘카의 카셰어링 시장 점유율은 77.8%로 지난해 말 73.6% 대비 4%p 이상 상승했다.
쏘카는 3분기 코레일과 제휴를 통해 코레일 앱에서 카셰어링 예약을 시작한데 이어 4분기에는 자사 앱에서 KTX 티켓 예약이 가능하도록 제휴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 4분기부터는 800만 카셰어링 이용고객에게 숙박, 액티비티 등 다양한 결합상품을 선보이며 이용 건당 매출 확대, 수익성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최대 1만9000여대의 차량을 직접 운영하는 카셰어링 사업은 규모의 경제를 이뤄내며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됐다"며 "국내외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쏘카의 독보적인 시장 경쟁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수익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