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11일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하고, 직접적이며 지속적일 때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박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기대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한 한은금요강좌를 통해 "우리 경제 환경을 고려한 소통 경험 축적과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위원은 중앙은행에 있어 기대 인플레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명목금리 또는 기대 인플레 조정을 통해 실질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소비, 투자, 상품가격, 임금의 결정주체인 가계·기업의 기대 인플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앙은행은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민간의 기대 인플레 형성과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최신 연구에 따르면 물가 정보를 제공받은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과 달리 기대 인플레를 조정했고 이는 기업의 가격·신용·고용·투자에 영향을 미쳤다"고 부연했다.
또한 박 위원은 "중앙은행 정보 효력은 약 6개월 정도로 짧게 지속됐다"면서 "이는 중앙은행의 메시지 전달이 단순하고 지속적일 때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중앙은행이 시장에 전달하는 통화정책과 관련 선제 지침인 '포워드 가이던스'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중앙은행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는 시각을 나타냈다.
그는 중앙은행의 소통방식에 있어서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봤다. 박 위원은 "해외 연구와 사례를 종합하면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하고, 직접적이며 지속(information campaign)적일 때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은의 포워드 가이던스 역시 경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위원은 "대중의 무관심, 과거 정보에 과도히 의존하는 정보 경직성, 오해 가능성, 기대 인플레 측정 오류 등 현실적 제약이 선제적 지침의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는 만큼 우리 경제 환경을 고려한 인프라 구축, 소통 경험의 축적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