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는 처분가능소득 절반을 식비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비 지출은 명목 기준으로 1년 전보다 늘었지만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는 줄어 고물가 영향을 피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가 식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42만9000원이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이 27만9000원, 외식 등 식사비가 14만9000원이었다.
가처분소득(90만2000원) 대비 식비 비중은 47.5%였다. 소득에서 세금·보험료·이자 등 비소비지출을 빼고 남은 금액 가운데 절반 가까이를 식비로 지출한 셈이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처분소득(807만1000원) 대비 식비(128만원) 비중은 15.9%였다. 4분위는 20.8%, 3분위는 23.5%, 2분위는 26.5%로 소득이 낮을수록 식비 비중이 컸다.
최근 먹거리 물가 상승세가 서민층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난 3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1년 전보다 7.9%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5.9%)을 웃돌았다.
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는 8.7% 올랐는데 이는 1992년 3분기(8.8%) 이후 30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1분위 식비는 작년 동기(41만3000원)와 비교해보면 3.7% 늘었다.
그러나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는 4.1% 감소했다. 물가 상승 영향으로 지출 금액은 증가했지만 실제 가계의 먹거리 소비는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식비 지출 감소 폭은 실질 기준 4분위 -2.4%, 3분위 -2.7%, 2분위 -3.3%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커져 서민들이 허리띠를 더 졸라매는 모습이었다.
당분간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서민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가운데 최근에는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이 결정돼 유제품과 이를 재료로 하는 빵·아이스크림도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이 우려되고 있다.
먹거리 외에 전기 등 공공요금 인상이 전망된다는 점도 필수 생계비 비중이 높은 서민에게 부담이다.
기획재정부는 "물가·민생 안정을 위해 마련된 기존 대책들을 조속히 시행해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가구의 가계 부담을 완화하겠다"며 "복합적 경제위기가 취약계층에 집중되지 않도록 고용·사회안전망을 지속해서 강화해 저소득층 삶의 질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1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가 식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42만9000원이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이 27만9000원, 외식 등 식사비가 14만9000원이었다.
가처분소득(90만2000원) 대비 식비 비중은 47.5%였다. 소득에서 세금·보험료·이자 등 비소비지출을 빼고 남은 금액 가운데 절반 가까이를 식비로 지출한 셈이다.
최근 먹거리 물가 상승세가 서민층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난 3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1년 전보다 7.9%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5.9%)을 웃돌았다.
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는 8.7% 올랐는데 이는 1992년 3분기(8.8%) 이후 30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1분위 식비는 작년 동기(41만3000원)와 비교해보면 3.7% 늘었다.
그러나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는 4.1% 감소했다. 물가 상승 영향으로 지출 금액은 증가했지만 실제 가계의 먹거리 소비는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식비 지출 감소 폭은 실질 기준 4분위 -2.4%, 3분위 -2.7%, 2분위 -3.3%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커져 서민들이 허리띠를 더 졸라매는 모습이었다.
당분간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서민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가운데 최근에는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이 결정돼 유제품과 이를 재료로 하는 빵·아이스크림도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이 우려되고 있다.
먹거리 외에 전기 등 공공요금 인상이 전망된다는 점도 필수 생계비 비중이 높은 서민에게 부담이다.
기획재정부는 "물가·민생 안정을 위해 마련된 기존 대책들을 조속히 시행해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가구의 가계 부담을 완화하겠다"며 "복합적 경제위기가 취약계층에 집중되지 않도록 고용·사회안전망을 지속해서 강화해 저소득층 삶의 질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