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동인청사 2층 브리핑룸에서는 이종헌 정책총괄단장이 대구시가 탄소중립 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하며, 대구시는 12월 14일, 탄소중립의 장기 비전과 과제를 담은 전략을 발표하며 탄소중립 이행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기후 위기의 지구적 도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탄소중립을 도시 재도약과 미래번영의 계기로 만들기로 했으며, 이번 전략에서는 자체 온실가스 배출량(기준연도 ’18년 897만 톤)을 2030년까지 45%, 2040년까지 70%를 감축하고 2050년까지 순배출량 ‘0’,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탄소중립 선도 모델로서의 잠재성, 통합신공항 건설 등 대구시 미래번영 50년 프로젝트와의 연계성도 중점적으로 고려되어, 5대 대표과제, 탄소중립 8대 분야별 핵심과제 등 85개 과제를 담고 있다.
먼저 5대 대표과제에 산단 지붕 태양광 프로젝트로 공장 지붕을 활용하는 대구發 친환경 태양광 발전 모델이 될 수 있으며, 대구시 구상에 따른 발전용량 1.5GW급으로 설치될 때 대구시 온실가스 배출량 897만 톤(기준연도 ’18년)의 10.6%에 달하는 95만 톤을 감축하게 된다.
이어 Green Mobility 대구 구축으로 시는 온실가스 배출원 중 수송 부문이 약 24%로 국가 평균인 14%를 크게 상회하며,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탄소중립 시민실천활동 “탄소 줄이기 1110”과 중수도 시스템 구축으로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 단계로, 이런 중수도가 도입되면 상수도 급수량을 절감할 수 있고 상수 처리에 들어가는 자원과 에너지를 감축할 수 있다.
Forest 대구 프로젝트로 대구시가 자랑하는 나무 심기, 숲 조성 등을 이어나가고, 금호강 유역을 녹색힐링벨트로 조성해 온실가스 4.5%(40만 톤)를 흡수하는 녹색 벨트를 만드는 구상이다.
다음으로 8대 핵심과제로 탄소중립 정책분야별로 대표성 있는 과제를 선정하여, 기후환경 분야에서는 탄소중립 실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매립장, 하수처리장 등의 환경기초시설 가스의 자원화 과제와 친환경 탄소중립 산단 조성을 과제로 하고 있다.
탄소중립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사업비는 ’30년까지 총 13조원으로 추산하며,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선도해 ’18년 이후 5년 연속으로 정부합동평가에서 전국 시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년 국가 탄소중립 선언 등으로 탄소중립이 국가 아젠다로 급속하게 부각하며, 수립된 전략은 산업, 에너지 등 탄소중립 제반 분야의 정책을 연계 종합하고 탄소중립의 관점에서 구조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폭염을 도시 열섬 완화의 기회로 삼았던 경험과 선견지명을 살려, 대구시의 문제와 악조건으로부터 출발해 대구시만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탄소중립 프로젝트에 도전하고자 한다”라며, “선언과 구호로서의 탄소중립이 아니라 도시 대전환과 재도약의 계기가 되는 탄소중립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