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75가구를 찾아가 맞춤형복지서비스를 제공했다.
또 주소지에 살고 있지 않고 연락이 끊긴 36가구에 대해서는 중앙 부처에 알려 사실 조사를 한 다음 필요한 조치를 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을 받지 앉은 600가구를 확인하고 연락이 닿지 않거나 본인이 상담을 거부한 119가구에 대해서는 지난 10월부터 두 달 동안 실태 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조사는 거주지가 있는 행정복지센터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을 중심으로 방문 상담을 통해 진행됐다.
119가구 중 75가구는 직접 찾아가 안부를 묻고, 기초생활보장‧긴급복지지원‧민간서비스 지원 등 가구의 상황에 맞춘 맞춤형 복지를 서비스했다.
또 행정복지센터 뿐 아니라 복지통장, 임대인, 친척의 도움을 받아 안부를 확인하고 복지 상담을 하고 있다.
주소지에 살고 있지 않아서 직접 상담을 하지 못한 36가구는 중앙 부처에 알리고 앞으로 실 거주지 정보 등 사실 조사 결과를 공유해 추가 복지 지원을 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실태 조사 대상자의 사후 관리 뿐 아니라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을 가동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보다 활발하게 벌일 계획이다.
특히 지난 10월말까지 동별로 구성된 위기 가구 발굴단(5026명)을 통해 발굴, 신고된 803가구에게는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사례 관리 등 공적 서비스와 민간 후원 연계, 집수리 등 민간 서비스를 1323건 지원했다.
또 위기정보 빅데이터에 기반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을 통해 지역 내 위기 가구를 발굴, 지원했다.
지난 1월부터 11월까지 1만996명에게 맞춤형 민간 서비스를 지원했다.
한편 광주시는 물가가 크게 올라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6월 29일부터 8월 19일까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법정 차상위계층 등 총 6만8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 317억원을 지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