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업계에 따르면 BMW코리아는 ix3, i4 등 주요 전기차 출고를 중단했다. 국외에서 제조하는 수입차 브랜드는 해외에서 만든 차량을 국내에 가져오면 고객에게 인도하기 전 품질·결함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친다. 자동차 생산공장에서 국내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선박 내 마찰이나 해풍 등으로 차체·도장 등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당국과 협의해 개선할 사안이 생겼다는 것이 BMW 측 설명이다. BMW코리아 관계자는 "배터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등 부분에서 정부 당국과 논의를 통해 기준을 맞춰가고 있다"며 "제품 결함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BMW는 최대한 이달 내 출고를 재개한다는 계획이지만 상황에 따라 내년 출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과거 BMW가 품질 문제 등을 이유로 5시리즈와 6시리즈 등 차종에 대해 출고를 멈췄을 때 출고 재개까지 1~3개월 소요됐다.
소비자들은 수개월에 걸쳐 신차 출고를 기다리고 있었지만 대기 기간이 더 길어진 데 이어 보조금 대상자에서도 제외돼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올해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된 고객들은 2023년 보조금을 신청해야 하지만 이마저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서울시 2022년 보조금 신청기간은 이달 16일로 마감되면서 다음(2023년 상반기분) 보조금 신청을 위해 내년 3월까지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BMW는 내년 3월 온라인 판매 물량 취소분을 올해 대기자에게 우선적으로 배분하겠다는 방침이기 때문에 내년 취소분 물량을 예상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보조금 신청 대상자 선정 여부가 불확실하다.
내년 3월에도 출고가 되지 않으면 또다시 보조금 신청 순서가 뒤로 밀릴 수도 있게 된다. 하반기 보조금 신청 기간인 내년 8월까지 또다시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고 중지로 인한 BMW 측 보상은 별도로 없다.
특히 내년도 지자체 보조금이 올해보다 축소될 전망이어서 소비자 피해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전기차 대당 국고 보조금은 2018년 1200만원, 2019년 900만원, 2020년 820만원, 2021년 800만원, 2022년 700만원 등으로 매년 축소됐다. 내년도 보조금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역시 줄어들 것이라는 시각이 팽배하다. i4는 국비와 지방비를 합친 서울시 보조금은 437만원이다. 이 보조금은 내년 절반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이 영업 일선에서 나오고 있다.
여기에 내년 차량 가격까지 인상되면 소비자들은 금전적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완성차업체들은 부분변경 모델 차량 가격을 잇따라 인상하고 있다. 실제 2023년식 BMW i4 eDrive40 '프로' 가격은 7310만원에서 7730만원으로 420만원 올랐다.
BMW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검사는 예방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어서 이달 출고 대기자들에게 우선적 혜택을 주기는 어렵다"며 "또 다른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으로 최대한 연내 출고가 가능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20/20221220164216461510.jpg)
BMW i4 [사진=BMW코리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