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강연자인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호서대 기계자동차공학부 조교수도 맡고 있으며 전기차,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협력금 제도 운영 등 미래차 관련 다양한 분야를 연구해온 전문가로 도내 미래차 부품산업을 진단하고 과제를 모색했다.
이 연구위원은 "자동차산업 패러다임이 내연기관 개인운전에서 전기동력자율주행차로 전환되고 있다"며 "미래차 주력 부품은 기계기술 부품에서 전기전자 부품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망, 생태계와 고용구조가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미래차 산업 동향에 대해서는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양적 성장은 현대차 계열사를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연구개발 투자가 부진해 혁신역량을 보유한 업체는 10인 이상 고용 부품업체의 6% 수준"이라며 "대부분의 부품업체가 전문화와 국제화 역량이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강의 후 이어진 질의 응답시간에서 한 참석자는 도내에 많은 내연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있는데 이 기업들이 미래차 부품업체로 잘 전환할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해 질문했다.
이 연구위원은 "내연기관 시스템에서 미래차를 지원하려고 하면 안 된다. 민간에 있지만 (미래차 기술을 이해하는 사람들) 그런 분들을 활용해서 같이 가는 게 낫다"면서 "(혼자) 고민만 해서는 해결이 안 된다. 민과 관이 네트워크를 만들어서 하라는 얘기가 바로 그것"이라고 답했다.
다른 참가자는 "선진국이 기능 제어 쪽으로는 앞서 나가지만, 우리가 연구할 수 있는 제2의 분야가 있을 텐데 그쪽에서 앞서나가면 어떨까"라고 물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자동차산업은 반도체, 배터리,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가 함께 발전해야 하는데 경기도가 반도체의 중심지인 만큼 도내에서 현대와 삼성의 협업모델이나 혁신 클러스터를 만들어볼 수 있지 않겠나"라며 의견을 구했다.
이에 이 연구위원은 "운영의 묘가 있어야 하는데 이쪽 분야에서 그걸 해본 사람이 없다. 그러나 정부가 만들어 놓은 협업 매뉴얼이 있으니 이를 활용해서라도 협업은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도는 오는 23일까지 총 7번의 경바시를 진행할 예정으로, 오는 22일에는 이창수 시민발전이종협동조합연합회장이 ‘경기도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