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500대 기업 중 우리나라는 16곳의 기업만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1위는 중국(136곳), 2위는 미국(124곳)으로 양국이 500대 기업 전체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2 포춘 글로벌 500’의 국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주요 기업의 수와 매출액, 진출업종 등 각종 지표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22일 밝혔다. 포춘은 매년 전 세계 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글로벌 500대 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이번 분석은 2021년 말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분석 결과 중국 기업은 136곳(27.2%)으로 기업수가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미국 124곳(24.8%), 일본 47곳(9.4%), 독일 28곳(5.6%), 프랑스 25곳(5.0%), 영국 18곳(3.6%), 한국 16곳(3.2%)이다.
국가별 총 매출액에서는 미국이 1위에 올랐다. 미국은 총 매출액 11조2000억 달러(약 1경4400조원)로 1사당 평균 매출액 904.6억 달러(약 116조5000억원)로 집계됐다. 중국은 총 매출액 11조 달러에 1사당 809.8억 달러며, 우리나라는 총 매출액 9962억 달러(약 1283조1000억원)에 1사당 평균 매출액 623.9억 달러(약 80조3000억원)로 주요국(G5) 중 매출액이 가장 낮았다.
국가별 업종 분포 현황에서는 총 21개 업종으로 구분된 가운데 미국이 19개 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중국 15개, 일본·프랑스 각 13개, 독일 11개, 한국·영국 각 8개다. 세부 업종에는 △우주항공&국방 △의류 △비즈니스 서비스 △화학 △에너지 △엔지니어링&건설 △금융 △식료품&잡화 △음식료&담배 △헬스케어 △호텔/식당&레저 △생활용품 △산업재 △재료/소재/금속 △미디어 △자동차&부품 △유통 △전자/반도체 △통신 △운송 △종합상사 등이다.
우리나라가 속한 8개 업종은 전자/반도체, 금융, 자동차, 에너지 등 4대 업종에 12개 기업(75.0%)이 집중됐다. 또한 우리나라 기업이 진출한 업종 수는 글로벌 500에서 업종별 분류를 시작한 2015년 이후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당시에도 포춘 글로벌 500에서 우리나라 기업은 8개 업종에 이름을 올리는 등 매년 6~8개 업종을 유지했다.
이 밖에 우리나라 수출 주력업종인 전자/반도체, 자동차, 재료/소재/금속, 화학 등 4개 업종에서 글로벌 1위 기업의 연간 매출액은 국내 1위 기업보다 1.5~4.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전자/반도체 1위인 애플의 매출액은 삼성전자의 1.5배며, 영업이익은 2.8배 높다. 자동차에서 폭스바겐의 매출액은 현대자동차보다 2.9배, 영업이익은 4.2배 높다.
전경련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업종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기업 규모를 기준으로 이뤄지는 차별규제(공정거래법상 대기업 집단 규제, 상법상 대규모 상장사에 대한 각종 규제 등) 해소가 선행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리나라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높은 수준의 규제가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신산업 분야의 성공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을 육성하려면 지금이라도 대기업 차별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2 포춘 글로벌 500’의 국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주요 기업의 수와 매출액, 진출업종 등 각종 지표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22일 밝혔다. 포춘은 매년 전 세계 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글로벌 500대 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이번 분석은 2021년 말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분석 결과 중국 기업은 136곳(27.2%)으로 기업수가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미국 124곳(24.8%), 일본 47곳(9.4%), 독일 28곳(5.6%), 프랑스 25곳(5.0%), 영국 18곳(3.6%), 한국 16곳(3.2%)이다.
국가별 업종 분포 현황에서는 총 21개 업종으로 구분된 가운데 미국이 19개 업종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중국 15개, 일본·프랑스 각 13개, 독일 11개, 한국·영국 각 8개다. 세부 업종에는 △우주항공&국방 △의류 △비즈니스 서비스 △화학 △에너지 △엔지니어링&건설 △금융 △식료품&잡화 △음식료&담배 △헬스케어 △호텔/식당&레저 △생활용품 △산업재 △재료/소재/금속 △미디어 △자동차&부품 △유통 △전자/반도체 △통신 △운송 △종합상사 등이다.
우리나라가 속한 8개 업종은 전자/반도체, 금융, 자동차, 에너지 등 4대 업종에 12개 기업(75.0%)이 집중됐다. 또한 우리나라 기업이 진출한 업종 수는 글로벌 500에서 업종별 분류를 시작한 2015년 이후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당시에도 포춘 글로벌 500에서 우리나라 기업은 8개 업종에 이름을 올리는 등 매년 6~8개 업종을 유지했다.
전경련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업종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기업 규모를 기준으로 이뤄지는 차별규제(공정거래법상 대기업 집단 규제, 상법상 대규모 상장사에 대한 각종 규제 등) 해소가 선행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리나라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높은 수준의 규제가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신산업 분야의 성공을 가로막고 있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을 육성하려면 지금이라도 대기업 차별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