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확정한 예산은 식약처 출범 이래 최대 규모로, 국회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정부안 6694억원에서 71억원이 증액 됐다.
마약 예방 교육 및 관리 시스템 구축에 24억원, 청사 관리 운영에 19억원, 가정 간편식 오염도 조사 확대에 8억원, 소프트웨어(SW) 의료기기 인허가 기술지원에 6억원,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부작용 피해 구제에 3억원이 증액됐다.
우선 식약처는 안심 먹거리와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2332억원을 편성했다.
또 최근 1인가구 증가 등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즉석섭취식품 등 가정간편식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가정간편식 유해오염물질 조사 대상을 기존보다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마약류 중독에 대한 예방과 재활지원 대응에는 248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다양한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중독자에 대한 재활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래 안전규제 선도를 위한 규제과학 기반 확대에는 37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등 관련 부처 협력 규제과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안전한 의료기기가 제품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국회에서 확정된 2023년 예산이 신속하게 집행되도록 예산 배정과 사업 실행계획 수립 등 집행 준비를 철저히 해 그 성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