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수출 불안 불안"…올해 성장률 목표 1.6%도 어렵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선영 기자
입력 2023-01-02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국발 금리인상, 실물경제 본격 전이

  • 원자재값 등 불확실성 높아 우려 확산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 중반대로 낮춰 제시했지만 이마저도 달성하기 쉽지 않다는 비관론이 확산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고 원자재 가격 변동 등 대외 불확실성 역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녹록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2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1.6%)와 한국은행(1.7%) 등 주요 기관들은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잠재성장률(2%)을 밑도는 1%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코로나19로 마이너스 성장했던 2020년(-0.7%)과 글로벌 금융위기 와중이던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문제는 1%대 중후반의 성장률 달성조차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기준금리 인상 후폭풍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출까지 둔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가와 수출 관리가 우리 경제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배경이다. 

특히 수출 부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 폭은 472억 달러. 미국발 금리 인상에 따른 고환율이 이어지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공급망이 위축되고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탓이다. 

우리나라 수출이 연간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이후 14년 만이다. 무역적자 규모는 무역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56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올해는 수출 여건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기 침체 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국 금리 인상 여파가 글로벌 경기에 반영되면 한국 수출 실적도 급락하게 된다"며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포항 지역 철강 산업이 최근까지 장기 평균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고, 중국이 위드 코로나 국면으로 전환했지만 내부 감염이 확산되고 있어 2분기는 돼야 중국에 대한 소비재와 자본재 수출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률도 성장률 제고에 걸림돌이다. 물가가 예상만큼 떨어지지 않으면 소비와 투자를 제약 중인 금리도 낮아지기 어렵다.

정부는 원자재 가격 하락, 수요 둔화 등에 따라 물가 오름세가 점차 둔화해 올해 평균 3.5%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연평균 상승률(5.1%)보다 개선된 수치지만 한은 물가 목표치인 2.0%와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  

특히 정부는 올해 에너지 요금 대폭 인상을 예고했는데 전기·가스요금은 상품과 서비스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원자재와 식량 가격이 안정되더라도 실제 물가 하락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 우리 경제는 경기 부진과 인플레이션 압력이 동시에 이뤄지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판단된다"며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하지만 고금리가 추가적인 경기 부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