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바라보는 새해 한국 경제 전망이 한파만큼이나 싸늘한 가운데 새해 가장 잘나갈 업종은 제약과 화장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25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이 바라본 2023 경제·경영 전망’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맑은 업종’은 제약, 화장품, 전기장비 순이었으며 ‘한파가 몰아질 업종’은 비금속광물, 섬유, 정유·화학, IT·가전 순이었다고 3일 밝혔다.
제약은 코로나 특수가 이어지고 있고, 화장품은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원자재 비중이 높고 글로벌 수요에 민감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식품, 자동차, 조선, 의료·정밀은 소폭이지만 매출 증가 전망이 나와 ‘약간 맑음’으로 분류됐고 철강, 기계, 목재·가구는 소폭 매출 감소 전망이 나와 ‘흐림’으로 분류됐다.
기업들이 전망하는 2023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16%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내외 기관들 전망치가 1.5∼2.0% 수준인 것과 비교해보면 기업 현장에서 느끼는 경제 여건이 더 좋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업들이 응답한 전망치는 1.0∼1.5% 구간이 30.6%로 가장 많았고 1.5∼2.0% 구간은 28.8%, 0.5∼1.0% 구간은 15.4%였다. 마이너스 성장을 전망한 기업이 8.8%였던 반면 3% 이상을 꼽은 기업은 0.4%에 불과했다. 전체 가중평균값은 1.16%였다.
새해 매출과 수출 실적을 작년과 비교해 어떻게 전망하는지 묻는 질문에 ‘동일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더 많아 가중평균값은 1%대 역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33.1% 기업이 ‘동일 수준’을 전망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34.5%, 플러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32.4%였고 가중평균값은 –1.0%로 집계됐다. 수출은 43.2% 기업이 ‘동일 수준’을 전망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26.2%, 플러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30.6%였고 가중평균값은 –1.3%로 집계됐다.
경영 실적 전망이 안 좋은 만큼 투자도 보수적으로 운영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작년과 비교해 새해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 ‘작년과 동일 수준’이라는 응답이 53.5%로 가장 많았고 ‘작년보다 감소’라는 답변이 33.9%였다. 작년보다 투자를 늘린다는 기업은 12.6%에 그쳤다.
2021년 말 동일한 방법으로 전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투자를 ‘작년보다 늘려 공격적으로 운영할 전망’이라는 답변이 41.6%였는데 1년 새 29%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반대로 ‘작년과 동일하거나 감소’라는 보수적 답변은 2022년 전망치인 58.4%에서 2023년 전망치인 87.4%로 크게 증가했다.
기업들은 새해 한국 경제를 위협할 위험 요인으로 3고(高) 현상 지속과 내수 소비 둔화를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은 위험 요인은 ‘고물가·고원자재 가격 지속’(67.3%)이었고 그다음으로는 ‘내수경기 침체’(38.2%), ‘고금리 지속’(29.2%), ‘원·부자재 수급 불안’(17.8%), ‘고환율 장기화’(16.7%) 순이었다.
이러한 위험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과제로 기업들은 ‘경기 상황을 고려한 금리 정책’(47.2%)과 ‘환율 등 외환시장 안정’(42.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금 조달 시장 경색 완화’(32.2%), ‘규제 혁신 통한 성장동력 확보’(21.7%), ‘수출 및 기업 활동 지원’(21.3%), ‘공급망 안정화’(2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225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이 바라본 2023 경제·경영 전망’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맑은 업종’은 제약, 화장품, 전기장비 순이었으며 ‘한파가 몰아질 업종’은 비금속광물, 섬유, 정유·화학, IT·가전 순이었다고 3일 밝혔다.
제약은 코로나 특수가 이어지고 있고, 화장품은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원자재 비중이 높고 글로벌 수요에 민감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식품, 자동차, 조선, 의료·정밀은 소폭이지만 매출 증가 전망이 나와 ‘약간 맑음’으로 분류됐고 철강, 기계, 목재·가구는 소폭 매출 감소 전망이 나와 ‘흐림’으로 분류됐다.
기업들이 응답한 전망치는 1.0∼1.5% 구간이 30.6%로 가장 많았고 1.5∼2.0% 구간은 28.8%, 0.5∼1.0% 구간은 15.4%였다. 마이너스 성장을 전망한 기업이 8.8%였던 반면 3% 이상을 꼽은 기업은 0.4%에 불과했다. 전체 가중평균값은 1.16%였다.
새해 매출과 수출 실적을 작년과 비교해 어떻게 전망하는지 묻는 질문에 ‘동일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더 많아 가중평균값은 1%대 역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33.1% 기업이 ‘동일 수준’을 전망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34.5%, 플러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32.4%였고 가중평균값은 –1.0%로 집계됐다. 수출은 43.2% 기업이 ‘동일 수준’을 전망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26.2%, 플러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30.6%였고 가중평균값은 –1.3%로 집계됐다.
경영 실적 전망이 안 좋은 만큼 투자도 보수적으로 운영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작년과 비교해 새해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 ‘작년과 동일 수준’이라는 응답이 53.5%로 가장 많았고 ‘작년보다 감소’라는 답변이 33.9%였다. 작년보다 투자를 늘린다는 기업은 12.6%에 그쳤다.
2021년 말 동일한 방법으로 전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투자를 ‘작년보다 늘려 공격적으로 운영할 전망’이라는 답변이 41.6%였는데 1년 새 29%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반대로 ‘작년과 동일하거나 감소’라는 보수적 답변은 2022년 전망치인 58.4%에서 2023년 전망치인 87.4%로 크게 증가했다.
기업들은 새해 한국 경제를 위협할 위험 요인으로 3고(高) 현상 지속과 내수 소비 둔화를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은 위험 요인은 ‘고물가·고원자재 가격 지속’(67.3%)이었고 그다음으로는 ‘내수경기 침체’(38.2%), ‘고금리 지속’(29.2%), ‘원·부자재 수급 불안’(17.8%), ‘고환율 장기화’(16.7%) 순이었다.
이러한 위험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과제로 기업들은 ‘경기 상황을 고려한 금리 정책’(47.2%)과 ‘환율 등 외환시장 안정’(42.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금 조달 시장 경색 완화’(32.2%), ‘규제 혁신 통한 성장동력 확보’(21.7%), ‘수출 및 기업 활동 지원’(21.3%), ‘공급망 안정화’(2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