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개 전업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롯데·우리·하나카드)의 작년 3분기 차 할부 자산 총액은 10조5835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분기 10조6460억원보다 625억원이 줄었다. 작년 상반기까지 매 분기 4000억원 수준의 증가세를 이어가다, 이내 멈춘 것이다.
우리카드와 KB국민카드 등이 감소 전환했다. 이 중 우리카드의 경우 한 분기 감소 폭이 무려 30%(1조7612억→1조2272억)에 달할 정도로 컸다. 수익성 개선 흐름도 더뎌졌다. 6개 카드사의 작년 3분기 차 할부금융 수익은 2416억9200만원으로 전년 동기(2230억6100만원)보다 8.4% 느는 데 그쳤다. 재작년 11.4%, 작년 9.7%에서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직접적 원인은 최근 1년 새 급격히 치솟은 금리다. 이로 인해 카드사들은 할부 금리를 올리고, 무이자 혜택을 없애는 등 마케팅 축소에 돌입했다. 시장에선 앞으로 이러한 흐름이 더욱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한다. 대다수 카드사의 차 할부 금리가 연 7~10% 수준(36개월 기준)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작년 초 1%대 후반~ 2%대 초반(1월 운영 기준)이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최소 3배 이상 상승한 것이다. 고객 입장에서는 신차를 예약했다가도 고금리 부담에 취소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상황이다.
카드사들은 악조건 속에서도 미래를 도모하려면 먼저 ‘데이터’ 관련 사업 등의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고 봤다.
현행법상 카드사는 은행, 보험 등 타 업권에 비해 규제 범위가 넓다. ‘가맹점 매출 정보’ 활용이 대표적이다. 카드를 제외한 업권은 개인신용정보를 활용할 때만 주체 동의를 받으면 된다. 반면, 카드사는 개인신용정보 외에 기업·법인 등의 신용정보를 활용할 때도 별도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로 인해 신규 서비스를 추진하려 해도, 현실적으로 가로막히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바로잡으려면 카드사에만 적용되는 기업·법인 신용정보 활용 제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신용카드업 자체에 대한 재정의도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신용카드가 규정하는 결제수단 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결제라는 기능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법체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