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전문가들은 올해 고금리·고물가 등 대외 위기상황 탓에 국내 경제성장률이 1.25%에 머물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대학 교수,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위원 등 경제·경영 전문가 85명을 대상으로 '2023년 경제키워드 및 기업환경전망'을 조사한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를 표현하는 키워드로 '심연', '풍전등화', '첩첩산중', '사면초가' 등의 단어를 꼽았다.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 앨리스가 토끼굴에 빠진 듯 우리 경제가 어둡고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암중모색', '중력이산', '경제와 사회의 회복탄력성' 등의 키워드를 통해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전문가 중 76.2%는 올해 저성장이 고착화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전문가들이 전망한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은 1.0∼1.5%가 32.1%로 가장 많았으며 1.5∼2.0%(25%), 0.5∼1.0%(23.8%)가 그 뒤를 이었다. 성장률 전망치 가중 평균은 1.25%다. 기획재정부(1.6%), 한국은행(1.7%),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등 국내외 주요 기관 전망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도 평균 2.22%로 국제통화기금(IMF)(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2.4%) 등 일부 기관 전망치를 소폭 밑돌았다. 올해 소비 및 투자도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둔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각각 90.5%, 96.4%에 달했다. 수출에 대해서는 78.6%가 작년과 유사 또는 둔화를 예상했다.
새해 우리 경제가 직면한 경제 분야 리스크는 고금리(24.5%), 고물가·고원자재가(20.3%), 수출 둔화 및 무역적자(16.8%), 내수 침체(15.0%) 등이 꼽혔다. 반도체 이후 한국을 이끌 먹거리 산업은 배터리(21.2%), 바이오(18.8%), 모빌리티(16.5%), 인공지능(10.6%) 등이 지목됐다.
2022년도 한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잘함' 응답률이 44.1%, '못함'이 41.4%로 비슷했다. 등급으로는 'B'로 응답한 비율이 29.8%로 가장 높았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무역수지 적자 반전, 가계부채 누증, 재정건전성 악화 등 우리 경제의 기초 체력 저하가 우려된다"며 "규제 개선, 차세대 기술개발 지원, 인력 양성 등 기초 체력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대학 교수,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위원 등 경제·경영 전문가 85명을 대상으로 '2023년 경제키워드 및 기업환경전망'을 조사한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를 표현하는 키워드로 '심연', '풍전등화', '첩첩산중', '사면초가' 등의 단어를 꼽았다.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 앨리스가 토끼굴에 빠진 듯 우리 경제가 어둡고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암중모색', '중력이산', '경제와 사회의 회복탄력성' 등의 키워드를 통해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전문가 중 76.2%는 올해 저성장이 고착화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도 평균 2.22%로 국제통화기금(IMF)(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2.4%) 등 일부 기관 전망치를 소폭 밑돌았다. 올해 소비 및 투자도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둔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각각 90.5%, 96.4%에 달했다. 수출에 대해서는 78.6%가 작년과 유사 또는 둔화를 예상했다.
새해 우리 경제가 직면한 경제 분야 리스크는 고금리(24.5%), 고물가·고원자재가(20.3%), 수출 둔화 및 무역적자(16.8%), 내수 침체(15.0%) 등이 꼽혔다. 반도체 이후 한국을 이끌 먹거리 산업은 배터리(21.2%), 바이오(18.8%), 모빌리티(16.5%), 인공지능(10.6%) 등이 지목됐다.
2022년도 한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잘함' 응답률이 44.1%, '못함'이 41.4%로 비슷했다. 등급으로는 'B'로 응답한 비율이 29.8%로 가장 높았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무역수지 적자 반전, 가계부채 누증, 재정건전성 악화 등 우리 경제의 기초 체력 저하가 우려된다"며 "규제 개선, 차세대 기술개발 지원, 인력 양성 등 기초 체력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