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에 탑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 쉐도우캠(ShadowCam)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2일 NASA 쉐도우캠으로 촬영한 첫 사진이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공개됐다고 밝혔다. 애리조나주립대는 쉐도우캠을 제작한 기관이다.
쉐도우캠은 달 극지방이나 분화구 내부 등 빛이 닿지 않는 부분을 촬영하는 영구음영지역 카메라로, 특히 물(얼음)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2009년 발사된 NASA 달 궤도 탐사선 'LRO'의 카메라와 비교해 200배 이상 빛에 민감하게 설계해, 기존에 촬영하지 못했던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얻은 정보는 향후 NASA의 달 유인 착륙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활용된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달 남극에 위치한 너비 약 20㎞의 섀클턴 분화구 내부 모습이다. 섀클턴 분화구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서 유인 착륙 후보지 중 하나로 꼽힌다. NASA는 앞서 탐사선을 이용해 이 지역을 면밀히 조사해 왔다.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한 이번 사진은 가파르게 경사진 분화구에서 직경 5m의 바위가 굴러 떨어진 경로가 세밀하게 보이는 등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앞으로 NASA 쉐도우캠은 물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달 극지방의 영구음영지역을 관측해 유인착륙에 적합한 후보지를 탐색할 계획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2일 NASA 쉐도우캠으로 촬영한 첫 사진이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공개됐다고 밝혔다. 애리조나주립대는 쉐도우캠을 제작한 기관이다.
쉐도우캠은 달 극지방이나 분화구 내부 등 빛이 닿지 않는 부분을 촬영하는 영구음영지역 카메라로, 특히 물(얼음)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2009년 발사된 NASA 달 궤도 탐사선 'LRO'의 카메라와 비교해 200배 이상 빛에 민감하게 설계해, 기존에 촬영하지 못했던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얻은 정보는 향후 NASA의 달 유인 착륙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활용된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달 남극에 위치한 너비 약 20㎞의 섀클턴 분화구 내부 모습이다. 섀클턴 분화구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서 유인 착륙 후보지 중 하나로 꼽힌다. NASA는 앞서 탐사선을 이용해 이 지역을 면밀히 조사해 왔다.
앞으로 NASA 쉐도우캠은 물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달 극지방의 영구음영지역을 관측해 유인착륙에 적합한 후보지를 탐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