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산부산물 재활용률을 2020년 19.5%에서 2027년 30%까지 높인다. 1000억원을 투자해 관련 산업도 육성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수산부산물은 수산물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뼈, 지느러미, 내장, 껍질 등으로 칼슘·콜라젠 등을 다량 함유해 재활용 가치가 높지만 관리체계 미비, 전처리 문제로 재활용이 어려웠다.
분리배출 체계 안착을 위해 공동집하장 등 지역단위 분리배출시설을 확충하고 수협 등 생산자단체가 영세어업인의 분리배출 업무를 위탁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한다.
패류 껍데기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전처리 시설을 확충한다. 패류 껍데기는 양식 과정에서 굴·홍합 등을 매달기 위해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코팅 로프가 섞여 상대적으로 재활용이 어려웠다.
전처리 된 패류 껍데기를 탈황제, 석회석 대체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대규모 자원화 시설도 구축·운영할 예정이다.
판로 확보를 위해 공공구매 확대, 공공기관의 선도적 사용 등 공공 수요를 창출한다. 친환경 인증 지원과 녹색구매지원센터 내 입점을 지원해 민간 수요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방침이다.
수산부산물을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한다. 우리나라는 수산부산물을 분쇄·건조 등 단순처리를 거쳐 비료,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지만 해외에서는 바이오 플라스틱, 양식어장 바닥 저질개선제 등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재활용 기술을 통해 굴 껍데기로 자연 해안선을 조성하고 바다숲 조성 기반이 되는 인공어초 제작 기술을 개발한다. 어류, 해조류, 패류 등 부류별 수산부산물을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을 위한 해양바이오 소재로 개발하는 한편 괭생이모자반과 같이 식용으로 섭취하지 않는 해조류 부산물도 대체 사료로 개발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수산부산물 실태조사를 실시해 수산부산물 맞춤형 자원순환 지표를 발굴한다.
지금까지 폐기 처리 위주였던 수산부산물 산업 구조가 재활용 중심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탄소배출권 거래 지원, 수산부산물 처리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협 등 유관기관, 지자체로 구성된 수산부산물 정책추진단을 운영하고 홍보·교육도 강화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에 수립된 제1차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본계획은 수산부산물을 자원순환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재활용 생태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첫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