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신 시장은 "세계적인 경기침체 국면에서 시 예산이 시민들의 생활 구석구석까지 빠르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해 달라"면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태는 신 시장이 성남시의회를 설득하며 사실상 준예산 사태 조기 종결을 주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신 시장은 성남시의회 의장단과 국민의힘 대표단을 만나 준예산 사태를 즉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주도적으로 시의회를 설득해 마침내 시의회 임시회에서 2023년 예산안을 조기 매듭짓는 데 한 몫 했다.
신 시장은 “시 집행부가 주도해 준예산 사태를 서둘러 해결하고 민생을 살펴야 한다”면서 “청년기본소득과 청년취업 올패스 사업 예산을 올해 예산안에 함께 편성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겠다”고 사태 해결 실마리를 마련했다.
한편 신 시장은 "다소 늦었지만 2023년도 예산안이 확정됐으니 성남시에서는 신속하게 집행계획을 마련, 올 상반기까지 전체 예산안 3조4405억원의 60%인 2조643억원을 조기에 집행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사회 안전망 구축에 전념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