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뒤쳐친 스마트항만 기술 경쟁력을 2030년까지 기술 선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광양항, 부산항 신항 등에 국내 기업의 기술을 도입한다.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관련 인재 육성을 통해 2031년까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국내점유율 90%, 세계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해양수산부는 1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은 항만 내 화물이동을 위한 크레인, 이송 장비와 항만 운영시스템(TOS), 분석 소프트웨어, 유무선 통신망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관리하는 시스템 산업을 말한다.
해수부는 연구개발(R&D) 투자 활성화, 부품 국산화 등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연내 스마트항만 R&D 로드맵을 수립, 내년부터 관련 R&D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중심으로 부품기술을 강화해 현재 29%에 불과한 부품 국산화율을 65%까지 끌어 올린다. 2026년까지 광양항 테스트베드에 개발기술 실증공간 9만2000㎡를 조성하고 광양항 해양산업 클러스터에 관련 기업을 집적한다.
국내 기업들이 항만 전주기 통합시스템 토탈포트솔루션(TPS)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국내 기술표준 제정을 추진한다.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마이스터고와 협력해 기술인재를 확보하고 기존 항만근로자의 전환 교육을 확대한다.
해수부는 국내 기업이 스마트항만 운영경험을 축적할 수 있도록 광양항 테스트베드와 부산항 신항 2-6단계 사업에 국내 스마트항만 기술을 도입한다.
인천 신항 1-2단계 운영사 선정에도 국내 기술 도입 기업을 우대하고 여기서 쌓인 노하우, 기술력 등을 활용해 부산항 진해신항을 세계 최고의 스마트항만으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기존 항만 터미널을 포함해 항만운영사가 스마트항만 장비를 도입할 경우 2024년부터 한국해양진흥공사의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해양모태펀드 등 스마트항만 스타트업에 대한 창업·투자도 강화한다.
해수부는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에 체계적 지원을 위해 2024년까지 '항만기술산업 육성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번 전략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향후 10년간 5조5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만5000명의 취업유발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 항만기술산업 규모도 2026년까지 2배(1조2000억원), 2031년까지 8배(3조9000억원)로 확대할 계획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전략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종합적인 정부 정책"이라며 "물류 안보 확보와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 반드시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