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를 하루 앞둔 지난 12일 서울 시내 한 SC제일은행에 대출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개인투자자들이 올해도 5대 증권사를 통해 5조원 이상을 매입하며 채권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6일까지 미래에셋증권·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KB증권·NH투자증권 등 5대 증권사의 개인 상대 리테일 채권 판매액은 5조123억원으로 집계됐다.
5조원이 넘는 리테일 채권 판매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약 1.7배에 달하는 규모다. 수치가 공개되지 않는 전자단기사채(전단채)와 해외채권 등을 포함하면 개인의 채권 매수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금융투자협회가 장외 채권시장에서 집계하는 개인의 채권 순매수액도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이달 2∼26일 개인투자자의 채권 순매수액은 2조3173억원으로, 작년 동기(2033억원) 대비 10배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채권 유형별로는 은행을 제외한 금융사 채권인 기타금융채가 9461억원으로 순매수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회사채(6578억원), 국채(3723억원), 은행채(1542억원), 자산유동화증권(ABS·794억원), 특수채(621억원) 등의 순이었다.
반면 주식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가 연일 떠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6조4316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특히 지난 26일과 27일 이틀 연속 주식을 1조원 넘게 팔아치웠다.
증시 부진에 따라 위험자산에서 채권과 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돈이 쏠리는 '역(逆) 머니무브' 현상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29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6일까지 미래에셋증권·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KB증권·NH투자증권 등 5대 증권사의 개인 상대 리테일 채권 판매액은 5조123억원으로 집계됐다.
5조원이 넘는 리테일 채권 판매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약 1.7배에 달하는 규모다. 수치가 공개되지 않는 전자단기사채(전단채)와 해외채권 등을 포함하면 개인의 채권 매수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금융투자협회가 장외 채권시장에서 집계하는 개인의 채권 순매수액도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이달 2∼26일 개인투자자의 채권 순매수액은 2조3173억원으로, 작년 동기(2033억원) 대비 10배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반면 주식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가 연일 떠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6조4316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특히 지난 26일과 27일 이틀 연속 주식을 1조원 넘게 팔아치웠다.
증시 부진에 따라 위험자산에서 채권과 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돈이 쏠리는 '역(逆) 머니무브' 현상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