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이 한국의 대(對)유럽 원자력 발전소 수출에도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40조원 규모의 튀르키예 원전 수출 사업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튀르키예 현지와 인근 유럽 국가들에 확산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폭발 괴담이 국민 불안감을 증폭시키면서 일부 의회와 시민단체의 원전 건설 반대 목소리까지 높아지고 있다.
8일 튀르키예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튀르키예 남부에 건설 중인 악큐유(Akkuyu) 원전 1호가 폭발했다는 소문이 확산함에 따라 “지금까지 지진이 튀르키예의 원자력 안전과 보안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는 입장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밝혔다.
IAEA의 이 같은 조치는 튀르키예와 유럽 주요국에 급격히 확산하는 원전 폭발 괴담이 원인이다. 해당 원전을 건설 중인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ROSATOM)도 입장을 내고 “진도 3의 지진이 현장에서도 느껴졌지만 건물 구조물, 크레인 및 장비에 대한 손상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사와 설치 작업이 안전하게 계속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진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진화에 나섰다. 튀르키예 정부 역시 악큐유 원전 폭발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하며 소문이 확산하지 않도록 조처를 하는 중이다.
다만 튀르키예 정부와 국제기구의 발표에도 원전에 대한 불안감 확산은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지고 있다는 것이 현지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그리스, 사이프러스, 튀르키예 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신규 원전 건설 반대를 넘어 이미 건설 중인 악큐유 원전 중단까지 촉구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는 튀르키예 정부와 원전 수출을 논의 중인 한국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국전력공사를 주축으로 한 한국 원전팀과 튀르키예 에너지자원부는 원전 수출 논의를 시작했으며, 지난달 30일에는 한전이 튀르키예 북부에 원자로 4기를 건설하는 예비제안서를 튀르키예 정부에 전달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올해 중에는 원전 발전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에는 한국 정부와 튀르키예 정부의 국가 간 협약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이 사업에는 한전을 포함해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일렉트릭, LS그룹 등 국내 주요 기업들과 수십개의 원전 관련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며, 그 규모만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액(20조원)의 2배인 40조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원전 건설 예비제안서 전달 일주일 만에 규모 7.8의 대지진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발전업계는 튀르키예 정부가 이번 재해를 계기로 원전 건설을 전면 재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흑해를 두고 크림반도와 마주하고 있는 튀르키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원전 건설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된 상태다. 여기에 더해 최악의 자연재해까지 겹쳐 정부가 더 이상 여론을 설득하기 힘든 상황에 다다랐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유럽 내 외신을 중심으로는 자칫 튀르키예발(發) 원전 공포증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유럽연합(EU) 의회가 원전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 경우 튀르키예뿐 아니라 폴란드, 체코와 원전 수출을 논의 중인 한국에게 더욱 까다로운 검증을 요구하거나, 발주 계획을 전면 수정하는 등의 악재가 발생할 수 있다.
한전 측은 “튀르키예와의 비밀 유지 서약 탓에 지진 이후 상황은 밝힐 수 없지만 여전히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8일 튀르키예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튀르키예 남부에 건설 중인 악큐유(Akkuyu) 원전 1호가 폭발했다는 소문이 확산함에 따라 “지금까지 지진이 튀르키예의 원자력 안전과 보안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는 입장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밝혔다.
IAEA의 이 같은 조치는 튀르키예와 유럽 주요국에 급격히 확산하는 원전 폭발 괴담이 원인이다. 해당 원전을 건설 중인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ROSATOM)도 입장을 내고 “진도 3의 지진이 현장에서도 느껴졌지만 건물 구조물, 크레인 및 장비에 대한 손상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사와 설치 작업이 안전하게 계속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진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진화에 나섰다. 튀르키예 정부 역시 악큐유 원전 폭발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하며 소문이 확산하지 않도록 조처를 하는 중이다.
다만 튀르키예 정부와 국제기구의 발표에도 원전에 대한 불안감 확산은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지고 있다는 것이 현지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그리스, 사이프러스, 튀르키예 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신규 원전 건설 반대를 넘어 이미 건설 중인 악큐유 원전 중단까지 촉구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올해 중에는 원전 발전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에는 한국 정부와 튀르키예 정부의 국가 간 협약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이 사업에는 한전을 포함해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일렉트릭, LS그룹 등 국내 주요 기업들과 수십개의 원전 관련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며, 그 규모만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액(20조원)의 2배인 40조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원전 건설 예비제안서 전달 일주일 만에 규모 7.8의 대지진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발전업계는 튀르키예 정부가 이번 재해를 계기로 원전 건설을 전면 재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흑해를 두고 크림반도와 마주하고 있는 튀르키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원전 건설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된 상태다. 여기에 더해 최악의 자연재해까지 겹쳐 정부가 더 이상 여론을 설득하기 힘든 상황에 다다랐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유럽 내 외신을 중심으로는 자칫 튀르키예발(發) 원전 공포증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유럽연합(EU) 의회가 원전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 경우 튀르키예뿐 아니라 폴란드, 체코와 원전 수출을 논의 중인 한국에게 더욱 까다로운 검증을 요구하거나, 발주 계획을 전면 수정하는 등의 악재가 발생할 수 있다.
한전 측은 “튀르키예와의 비밀 유지 서약 탓에 지진 이후 상황은 밝힐 수 없지만 여전히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