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상진 성남시장[사진=성남시]
이날 신 시장은 "오는 2027년까지 500억원을 들여 ‘메타시티 성남 디지털 트윈 구축’ 등 41개 정보화 사업을 추진한다"면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를 위해 신 시장은 최근 교수, IT전문가 등 14명으로 구성된 지능정보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5개년도의 정보화 사업 시행 계획을 심의·의결한 상태다.
그중 하나는 ‘메타시티 성남 디지털 트윈’으로 명명한 공간 분석·모의실험 시스템이다.
총 48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구축 예정인 이 시스템은 컴퓨터 가상공간에 성남시내 전역을 쌍둥이처럼 똑같이 만들어 놓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개발, 교통 혼잡 등의 상황을 모의 실험을 거쳐 예측하는 구조다.
이는 도시 균형개발, 중대재해 예방, 도로 파임, 열섬, 탄소배출 등 각종 도시 문제와 관련한 정책 결정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고 신 시장은 귀띔한다.
문제가 발생하기 전 해결 방법을 찾아낼 수 있는데다 모든 상황에서 위험 요소와 비용, 노동력, 시간도 줄이게 된다.
이 외에도 신 시장은 가상 세계에서 문화·관광·소통·교육 분야를 체험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정보통신기술을 교통체계에 접목해 도로 상황에 신속 대응하는 지능형교통체계(ITS) 서비스 등도 구축할 방침이다.
한편 신 시장은 빠르고 정확한 행정서비스를 위해 일정 지역단위 가구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가구 빅데이터, 언제 어디서든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 구축도 정보화 사업계획에 포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