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김동연 지사 [사진=경기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2/09/20230209225110433370.jpg)
김동연 지사 [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챗GPT 지켜보고만 있진 않겠습니다'란 제목으로 "‘챗GPT’를 사용한 다양한 사례가 매일 보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콜롬비아에서는 현직판사가 판결문 초안을 ‘챗GPT’로 작성해 논란이 됐다"고 전하면서 "저도 한번 사용해봤다고 하고, 기술 발전 속도는 참으로 놀랍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지사는 "편리함이 커지고 기업이 성장하는 큰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말하며 "한편으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경제적 격차가 커질 수도 있다고 우려하면서, 이참에 본격적으로 ‘경기GPT’ 구상을 시작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처음부터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도정’을 공약한 바 있다고 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해 정책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행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며 "인공지능을 적극 활용하는 것과 동시에 그에 따른 일자리 문제 등 사회 문제를 보완하는 정책도 함께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상상의 지평을 넓혀 혁신을 기회로 삼으면서도 인간의 가치를 지키고 키워나갈 수 있는 정책을 계속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챗GPT는 생성AI 기반의 고성능 챗봇으로 오픈에이아이(Open AI)라는 미국회사에서 개발했으며 찾고자 하는 정보를 별도의 시간을 들여서 웹서핑을 하지 않고 AI챗봇과 대화를 통해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Tool이라고 보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