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권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재점화된 가운데 증권사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금융권 중 증권사에서의 연체 규모(연체액·연체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발행된 물량 중 만기가 돌아오는 32조원가량의 증권사 PF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가 2022년부터 지난 13일까지 추진한 PF 딜 규모는 70조139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올해 만기인 물량은 31조6116억원으로 전체의 45.1% 비중을 차지했다.
PF업황을 위축시켰던 요인으로 꼽히는 자산유동화증권기업어음(ABCP) 및 전자단기사채(ABSTB) 매입약정 규모는 9조1055억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만기 물량은 2조1537억원으로 전체 23.7%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가 2022년부터 지난 13일까지 추진한 PF 딜 규모는 70조139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올해 만기인 물량은 31조6116억원으로 전체의 45.1% 비중을 차지했다.
PF업황을 위축시켰던 요인으로 꼽히는 자산유동화증권기업어음(ABCP) 및 전자단기사채(ABSTB) 매입약정 규모는 9조1055억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만기 물량은 2조1537억원으로 전체 23.7%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증권사가 유동성·신용공여기관으로 참여한 500억원 이상 대형딜(ABCP 및 ABSTB 매입약정 유형) 중 가장 큰 건은 KB증권의 ‘뉴스타김포제오차’로 파악됐다. 1800억원 규모다. 이어 NH투자증권 ‘샤이닝스톤영통’ (1243억원) 등이다.
전체 발행시장에서 PF대출채권 규모는 연초 이후 23조272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9조4350억원)보다 4조원가량 증가했다. 이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지난해부터 PF딜이 수도권 사업장과 선순위 구조 위주로 이뤄져 위험도가 낮다는 분위기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급격한 금리인상 기조와 함께 건설경기가 악화되며 증권사들도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며 “비교적 안정적인 대출채권 변제순위가 선순위 구조로 구성된 수도권 사업장 중심의 매물에 집중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증권사가 유동성 위기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러 지표에서 긍정적인 개선보다는 변동성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금융권(카드사 제외) 부동산 PF 연체잔액은 1조1465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 4838억원보다 2.37배(6627억원) 정도 급증한 규모다.
특히 증권사 PF 연체잔액은 3638억원, 연체율 8.2%로 전 업권 중 가장 높다. 은행권의 연체잔액 115억원, 연체율 0.03%와 비교해보면 압도적인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PF 대출 연체 규모가 관리 가능한 범위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부동산 금융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높은 상태다.
특히 대우건설 사태로 인해 부동산 PF 위기론이 재확산되는 분위기다. 대우건설은 최근 울산 동구 일산동 푸르지오 주상복합아파트 개발사업을 부도(디폴트) 처리했다.
이에 등급에 따른 PF ABCP 금리 스프레드도 벌어지는 모습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A1’등급의 PF ABCP 평균 거래금리는 지난주(10일) 4.29%까지 내려왔다. 1월 첫주(6일) 6.29%에서 2%포인트 내려 안정적인 모습이다.
반면 비우량 ‘A2’등급 금리는 널뛰고 있다. 1월 둘째주(13일) 10.76% 고점을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1월 마지막주 8.12%를 기점으로 반등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주 A2등급 PF ABCP 금리는 9.37%까지 올랐다. 이는 대우건설 사태로 인해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사의 경우 A1 등급 PF ABCP 확약물을 가지고 있고, A2등급은 A등급 건설사 보증물이다. 증권사 입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상황이지만, 최근 수익성이 보장된다는 수도권에서도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 얼어붙은 건설경기를 감안하면 안심하기 이르다는 지적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당국뿐만 아니라 증권사도 PF와 관련해 리파이낸싱(재매각) 등 여러 리스크 방어 대책을 내놓고 있다”며 “건설경기가 안정될 때까지 방어적인 전략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체 발행시장에서 PF대출채권 규모는 연초 이후 23조272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9조4350억원)보다 4조원가량 증가했다. 이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지난해부터 PF딜이 수도권 사업장과 선순위 구조 위주로 이뤄져 위험도가 낮다는 분위기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급격한 금리인상 기조와 함께 건설경기가 악화되며 증권사들도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며 “비교적 안정적인 대출채권 변제순위가 선순위 구조로 구성된 수도권 사업장 중심의 매물에 집중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증권사가 유동성 위기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러 지표에서 긍정적인 개선보다는 변동성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금융권(카드사 제외) 부동산 PF 연체잔액은 1조1465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 4838억원보다 2.37배(6627억원) 정도 급증한 규모다.
특히 증권사 PF 연체잔액은 3638억원, 연체율 8.2%로 전 업권 중 가장 높다. 은행권의 연체잔액 115억원, 연체율 0.03%와 비교해보면 압도적인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PF 대출 연체 규모가 관리 가능한 범위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부동산 금융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높은 상태다.
특히 대우건설 사태로 인해 부동산 PF 위기론이 재확산되는 분위기다. 대우건설은 최근 울산 동구 일산동 푸르지오 주상복합아파트 개발사업을 부도(디폴트) 처리했다.
이에 등급에 따른 PF ABCP 금리 스프레드도 벌어지는 모습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A1’등급의 PF ABCP 평균 거래금리는 지난주(10일) 4.29%까지 내려왔다. 1월 첫주(6일) 6.29%에서 2%포인트 내려 안정적인 모습이다.
반면 비우량 ‘A2’등급 금리는 널뛰고 있다. 1월 둘째주(13일) 10.76% 고점을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1월 마지막주 8.12%를 기점으로 반등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주 A2등급 PF ABCP 금리는 9.37%까지 올랐다. 이는 대우건설 사태로 인해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사의 경우 A1 등급 PF ABCP 확약물을 가지고 있고, A2등급은 A등급 건설사 보증물이다. 증권사 입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상황이지만, 최근 수익성이 보장된다는 수도권에서도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 얼어붙은 건설경기를 감안하면 안심하기 이르다는 지적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당국뿐만 아니라 증권사도 PF와 관련해 리파이낸싱(재매각) 등 여러 리스크 방어 대책을 내놓고 있다”며 “건설경기가 안정될 때까지 방어적인 전략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