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열효율이 높은 콘덴싱보일러 교체 보조금을 축소하면서 난방비 부담을 방치했다는 지적이다. 일반보일러를 콘덴싱보일러로 교체할 경우, 연간 최소 34만원 가량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음에도 정부 보조금 삭감으로 소비자들이 콘덴싱보일러 설치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보일러업계에 따르면 가정용 콘덴싱보일러 구매와 설치비용은 약 105만원이다. 반면 일반보일러는 약 85만원이다. 20만원 차이가 난다. 환경부가 편성한 2023년도 전체 예산 중 콘덴싱보일러 보조금은 1대당 10만원이다. 20만원에서 지난해 50%가 삭감됐다. 특히 올해 지원대수는 지난해 60만대에서 9만대 줄어든 51만대로 예상된다.
집주인 "내가 왜", 취약계층 "그림의 떡"
환경산업기술원의 의뢰로 ㈜이노엑트가 작성한 ‘친환경보일러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및 경제적 편익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 4인 가족이 거주하는 30평대 이상 아파트를 기준으로, 일반보일러 연간 연료 사용량은 9만2308메가줄(MJ), 콘덴싱보일러는 7만4738MJ이다. 최근 난방비(19.69원/MJ)를 적용하면 연간 난방비는 일반보일러 181만7721원, 콘덴싱보일러 147만1743원이다. 약 34만6000원의 차이가 난다.
그럼에도 보조금이 50%나 줄어들면서 소비자들은 계층에 따라 콘덴싱보일러 교체 필요성에 무관심해지거나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A업체 관계자는 “보조금이 줄어 가장 타격을 받는 이는 취약계층”이라고 지적했다. 지원금 축소로 집주인은 콘덴싱보일러 교체 필요성이 없어졌다. 보일러 구입비는 집주인이 부담하지만 난방비는 세입자가 부담하는 까닭이다.
그는 “정부 정책이 거꾸로 가는 느낌이다”며 “본인 집을 가지지 못한 취약계층 난방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라도 보조금을 종전 20만원으로 올려야하고 지원대수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50%삭감 보조금·포화된 시장 이중고...해외 시장 눈돌려
업계 역시 보조금이 20만원에서 10만원으로 감소하면서 소비자 주문이 감소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국내 가정용 가스보일러 제조사는 지난 2021년 1월 롯데알미늄 보일러 사업부를 대성쎌틱에너시스가 공식 인수해 경동나비엔, 귀뚜라미, 린나이, 대성쎌틱, 알토엔대우 총 5개 기업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시장 선도 기업은 경동나비엔과 귀뚜라미다.
그러나 시장 선도 기업도 국내가 아닌 해외 시장 개척에 사활을 걸고 있다. 콘덴싱보일러 보조금 50% 삭감 여파에 국내 가정용보일러 시장 판매량이 연간 130~150만대에서 더 이상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경동나비엔의 경우, 전체 매출 중 해외 매출 비중은 지난 2018년 52.6%, 2019년 56.7%, 2020년 58.0%, 2021년 65.0%에 지난해 3분기 기준 70%를 넘었다.
귀뚜라미는 보일러 사업이 모태다. 그러나 1969년 귀뚜라미보일러가 설립된 이후 53년 만에 주력 산업에 변화가 나타났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뚜라미 전체 매출(추정) 1조6000억원의 72%를 냉방 공조와 에너지 등 비(非)보일러 분야에서 달성했다. 그룹 주력이던 난방 매출은 4500억원으로 비중이 30% 밑으로 떨어졌다.
B업체 관계자는 “콘덴싱보일러 교체가 의무화됐기 때문에 환경부 속내는 보조금 지급 자체를 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 시장 매출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업계 모두가 해외 시장 확대를 위해 법인을 세우고 투자에 집중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