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불경기에 차주 상환능력 '뚝'···시중은행·인뱅 연체율 급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3-02-26 15: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은행 신규 연체율, 작년 1월 0.04%→올해 1월 0.09%로 2배 뛰어

  • 인터넷은행도 연체대출 3배 증가···상반기 경기 침체 시 부실 우려

[사진= 연합뉴스]


최근 은행에서 돈을 빌린 뒤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늘고 있다. 그간 금리 인상에 따른 파급효과가 누적된 데다 경기 상황까지 어려워지자 은행권 전반에 걸쳐 연체율이 크게 뛰었다. 올해 상반기 경기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건전성 악화에 따른 부실 우려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신규 연체율 평균은 1년 전(0.04%)보다 2배 이상 높은 0.09%를 기록했다. 은행의 신규 연체율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승으로 전환된 뒤 날이 갈수록 더욱 강한 오름세를 보였다. 작년 6월(0.04%)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9월 0.05%로 올라선 뒤 12월 0.07%, 올해 1월 0.09%까지 높아졌다. 신규 연체율은 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기준 대출 잔액으로 나눈 것으로 얼마만큼 새로운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준다.

은행 연체율이 악화한 것은 무엇보다 고금리 누적 효과가 쌓인 탓이다. 한국은행은 물가를 잡기 위해 2021년 8월부터 1년 반 동안 기준금리를 3%포인트 인상했다. 높아진 금리 탓에 가계와 기업 대출금리는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가계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해 초 8%를 넘어서기도 했다. 퍼센티지로 보면 금리 차는 1~2%포인트지만 차주들이 체감하는 이자 부담은 두 배가량 늘어났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인터넷은행 3사의 1개월 이상 연체 대출 잔액은 2915억원으로 작년 1분기 말(1062억원)보다 3배 가까이 뛰었다.

인터넷은행들은 여신 규모 성장에 따른 불가피한 흐름이라고 설명하지만 대표적인 건정성 지표인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연체기간 3개월 이상) 비율도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말 카카오뱅크 연체율은 0.49%로 1분기 말보다 0.23%포인트 상승했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같은 기간 0.11%에서 0.36%로 0.25%포인트 급등했다. 케이뱅크·토스뱅크 연체율(3분기 기준)도 1분기 대비 각각 0.19%포인트, 0.26%포인트 뛰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각각 0.12%포인트, 0.19%포인트 상승했다.

고금리와 불경기 상황이 맞물리면서 가계와 기업은 늘어난 이자 부담을 감당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은행 건전성 악화, 부실 우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은 지난 10일부터 현장검사에 돌입하는 등 은행들이 충분히 손실을 흡수할 능력이 있는지 점검에 들어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실물경제가 악화하면 은행이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 공급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감독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