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3/02/20230302084138848007.png)
더불어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인 박범계 의원(오른쪽)이 지난해 12월 종로구 서울경찰청 민원봉사실 앞에서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성명불상 검사와 수사관을 고발하기 앞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왼쪽은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연합뉴스]
친명(친이재명)계인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2일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 무더기 이탈표가 나온 것에 대해 "조직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다음 체포동의안 투표 때는 가부 여부를 '당론'으로 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체포동의안이 또 날아올 경우 가부를 당론으로 결정해야 하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권고적 당론은 좀 생각해 볼 수는 있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결국에는 당의 총의를 모으는 과정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이번처럼 이탈표가 나오지 않도록 충분하게 조금 더 깊이 소통하면서 당의 총의를 모아서 결론을 내리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의원은 가부를 당론으로 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체포동의안 표결은) 무기명 자율 투표다 보니까 (가부를) 강제하기 어렵고 누가 부결했는지 가결했는지 또 나중에 확인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에 그것 자체가 불필요한 부담을 키우는 절차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그런데 지금 상황이라고 한다면 오히려 더 치열하게 당론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토론을 해서라도 어떤 절차를 고민해 볼 수는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의원은 이번 이 대표 체포동의안에 대한 '무더기 이탈표'는 조직적인 움직임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복수의 의원들을 통해서 확인한 내용인데 여러 명의 의원께서 표와 관련돼 '무효나 가결 표를 나눠서 이렇게 해달라라'는 전화를 한 통에서 많게는 세 통까지 받았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탈표가 의원님들께서 자발적으로 이렇게 몇몇이 생각해서 한 것이 아니라 조직적으로 이렇게 표를 만든 것 아닌가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주장의 정당성과 의사를 만들어가는 그 과정에 문제가 있다"며 "지금 보도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비명(비이재명)계가 이 대표에게 당대표직을 내려놓으라고 이야기를 했는데 이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당대표직을 내려놓지 않겠다는 의사 표시를 분명히 하니까, 그러니까 체포동의안을 가결하는 식으로 어떤 실력 행사를 보여준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이재명 (더는) 당대표 안 된다'라는 생각이 있었다면 당의 총의를 모으는 과정에서 그런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 토론하고 이야기해야 한다"면서 "앞에서는 전부 다 모든 의원님께서 부결해야 한다고 이렇게 이야기하지 않았나"고 이탈표를 거듭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