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
도에 따르면 지원 대상은 도내에 주소를 둔 드론 관련 중소기업으로 ‘기술개발 및 드론 활용(서비스) 상용화 지원사업’과 ‘드론 기업 수요맞춤형 지원사업’ 두 가지를 동시에 추진하고 기술개발 및 드론 활용(서비스)상용화 지원은 서면·대면 발표 등 2차례의 평가를 거쳐 최종 8개 사를 선정한다.
지원 분야는 △금형, 목업, 프레임 제작 △비행 컨트롤러(FC) 제작 및 설계 △소프트웨어(SW) 및 서비스 개발로 나눠져 있다. 해당 분야에 필요한 자금은 기업당 총사업비의 70% 이내에서 최대 7000만원에서 5000만원을 지원받게 되며 나머지는 기업에서 자부담하면 된다.
또 수요맞춤형 지원사업을 통해 도내 드론 기업의 제품·서비스 경쟁력을 향상하고 판로를 확대한다. 지원 분야는 △국내‧외 지식재산권 출원 △국내‧외 인증 △국내‧외 마케팅 △시험비행(실증)이며 해당 분야에 필요한 자금은 기업당 총사업비의 70% 이내에서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받게 되며 나머지는 기업 자부담이다.
김현대 도 미래성장산업국장은 “드론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하나로 지속 성장 중”이라며 “경기도가 국내 드론 산업 육성의 선발주자로 도약하기 위해 많은 드론 산업 관련 중소기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