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회복 흐름을 보였던 국내 소비가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과 주택가격 하락 등 악재로 둔화돼 미국 등 주요국보다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한국은행 조사국은 '국별 비교를 통한 소비흐름 평가 및 향후 점검' 제하의 BOK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와 주요국 민간소비는 팬데믹 발생으로 크게 위축된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회복 국면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 민간소비는 지난해 방역해제 이후 서비스소비를 중심으로 회복속도가 빨라졌으나 팬데믹 이전 추세를 하회하는 상황에서 회복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대규모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지난 2021년 2분기 팬데믹 이전 추세를 회복한 데 이어 견조한 노동시장이 소비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독일 등 유로지역은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효과와 완화적 재정정책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였으나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회복세가 둔화된 모습이다.
한은이 향후 국내 소비여건을 소비여력과 주택경기, 기타요인 등으로 나눠 주요국과 국내 상황을 비교한 결과 우선 소득 부문에서는 더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팬데믹 이후 노동공급이 크게 늘어난 반면 노동수요가 크게 늘지는 않아 고용 증가 및 임금 상승을 통한 소득 개선 정도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한은 관계자는 "임금의 경우 미국보다 노동수요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주요 기업 실적 부징 등을 감안하면 상승폭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대출 원리금 상환 부문에 있어서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점쳐졌다. 한국의 경우 주요국 대비 가계부채 수준이 큰 데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도 높아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원리금 상환 부담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내 주택경기가 주요국보다 더 부진하다는 점도 역자산효과 및 이주시 수반되는 내구재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초과저축 부문에서는 누증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 최근 중국 국경봉쇄가 해제돼 중국 관광객 유입이 본격화될 경우 자영업자 소득 개선으로 연결돼 민간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다만 "올해 국내 민간소비 증가세가 전년에 비해 상당폭 둔화되겠지만 그간 축적된 가계저축 등을 감안하면 급격한 위축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리오프닝이 늦어 초과저축이 향후 소득충격의 완충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