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청 전경[사진=전라북도]
이는 ‘노후준비지원법’ 개정에 따라 지자체 중심의 노후준비 전달체계 구축 및 운영모델 구체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시범사업이다.
도는 그간 지자체 노후준비 전달체계 원년인 2022년 3월에 광역 지자체 중 최초로 시범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지역 여건에 맞는 노후준비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도민의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 지원을 위한 노후준비 진단‧상담, 노후준비 아카데미 등 다양한 노후준비 서비스를 제공했다.
도는 올해 국민연금공단 전주완주지사 및 김제시와 협업체계를 구축해 광역 및 지역 노후준비지원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비 7000만원을 포함한 1억4000만 원을 투입해 도민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관한 진단과 상담(기본·심층), 교육, 관계기관 연계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농촌마을 갈등 조정 돕는 지원단 발족

[사진=전라북도]
농촌마을에는 원주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을 비롯해 마을사업 관련 주민간 의견 대립 등 크고 작은 문제들이 발생하는데, 최근 그 정도가 심각해 법적 다툼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에 전북도는 ‘갈등조정 전문가 지원단’을 꾸려 갈등 문제에 대한 상담을 넘어서 전문적 해법을 제시키로 했다.
지원단은 변호사, 세무사, 노무사, 전문 컨설턴트 등 분야별 전문직으로 구성했다.
도는 또한 농촌 현장 활동가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인력양성 교육 과정’도 운영해 현장에서 문제를 찾아내고 마을주민이 협력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