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지난해 11월 17일 오전 서울 경복고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올해 치러지는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과생 비율이 5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지난해 11월 당시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본 교육청 학력평가 사회·과학탐구 응시자 수를 분석한 결과 이과생 비율이 50%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여기에 재수생까지 포함해 2024학년도 수능 응시자 중 이과생 최종 비율을 추정하면 52% 정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종로학원은 2020학년도부터 11월 학력평가 사·과탐 응시자 수를 바탕으로 수능을 보는 이과생 비율을 추정해왔다. 그 결과 재수생이 합류하면 이 추정치보다 이과생 비율이 2%포인트 정도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수능에서 이과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2학년도까지 30%대 수준이었지만 이후 꾸준히 상승했다. 사·과탐 비율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2013학년도에 41.4%로 처음으로 40%대를 기록하고, 2023학년도에는 50.0%로 절반을 차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취업과 통합수능 등에서 이과생이 유리하고, 의약학계열 쏠림과 이과 중심 정부 육성정책 등이 더해져 이과 쏠림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문과는 학생 수 감소로 수능 고득점자 숫자는 줄고 합격선도 하락할 수 있다"며 "다만 문·이과 교차지원 유불리 등 변수가 있어 문과생 대입 예측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종로학원은 지난해 11월 당시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본 교육청 학력평가 사회·과학탐구 응시자 수를 분석한 결과 이과생 비율이 50%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여기에 재수생까지 포함해 2024학년도 수능 응시자 중 이과생 최종 비율을 추정하면 52% 정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종로학원은 2020학년도부터 11월 학력평가 사·과탐 응시자 수를 바탕으로 수능을 보는 이과생 비율을 추정해왔다. 그 결과 재수생이 합류하면 이 추정치보다 이과생 비율이 2%포인트 정도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취업과 통합수능 등에서 이과생이 유리하고, 의약학계열 쏠림과 이과 중심 정부 육성정책 등이 더해져 이과 쏠림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문과는 학생 수 감소로 수능 고득점자 숫자는 줄고 합격선도 하락할 수 있다"며 "다만 문·이과 교차지원 유불리 등 변수가 있어 문과생 대입 예측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https://blog.naver.com/macmaca/222842508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