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부동산경기에 건설업종 부실위험이 증가했다는 경고등이 켜졌다. 한국은행은 아직은 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이지만, 부동산 PF관련 채무보증을 제공해 재무제표상 드러나지 않은 우발채무가 현실화하면 부실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23일 한국은행이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통해 상장 건설사의 재무리스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상장 건설사의 상환능력과 유동성, 안정성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을 총이자비용으로 나눠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이자보상배율은 2021년 6.5배에서 3.0배로 떨어졌다. 영업이익만으로는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취약기업 비중도 2021년(28.9%)보다 7.2%포인트 상승한 36.1%를 기록했다.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유동비율은 149.5%로 2021년말(166.8%)보다 17.3%포인트 하락했다. 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부채비율은 107.9%로 2021년말(97.4%)보다 상승했다.
문제는 해당 업권 내에 수면위로 떠오르지 않은 재무리스크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일부 건설사는 채무보증을 상당 규모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로 재무상태표에 포함되지 않다가 차주가 채무를 불이행 했을 때 대신 상환하며 비로소 재무재표에 반영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상장 건설사 중 32개 기업은 PF대출·과 유동화 증권에 대한 채무를 제공했고 특히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2배를 넘어서는 PF채무보증을 제공했다.
중도금대출보증을 비롯한 기타 채무보증으로 범위를 넓히면 상장 건설사 중 44개 기업이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보유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10곳 중 1곳은 우발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5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은은 지난해 국내 중소 건설사에서 한계·부실위험 건설사 비중이 크게 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경기 부진과 원자재가격 상승, 이자비용 급증이 겹쳤기 때문이다. 특히 수도권보다는 지방 소재 중소 건설사에서 한계·부실기업 비중이 더 상승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다. 과거 우 재무비율이 양호했던 우석건설과 동원건설산업의 부도를 근거로 부동산 PF관련 유동성 충격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은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상장 건설사의 재무건전성은 소폭 악화됐으나 전반적으로는 양호한 수준”이라면서도 “PF 채무보증 제공 규모가 큰 건설사과 이들이 시공·보증한 PF사업장에 대해 세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부동산 PF의 경우 분양이 이뤄져야 자금이 융통돼 최종 청산되는 만큼 '부동산 경기 연착륙'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한 정책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