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4/03/20230403183624805360.jpg)
[사진=아주경제DB]
금융감독원이 ‘카카오톡 채널’ 서비스에서 시중은행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자 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 사기범은 소비자들이 금융회사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도록 상담 채널을 꾸민 뒤 대출 상담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편취해 주의가 요구된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사칭 전화·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 등에서 개인정보를 요구하면 거절하고 금융사기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고 3일 강조했다.
사기범들은 인터넷에서 대출 정보를 검색하는 피해자에게 접근해 은행 직원임을 사칭해 카카오톡 상담 채널로 유도한다. 카카오톡 채널 프로필에는 실제 금융회사 로고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금융 소비자들을 기망한다. 특히 채널명을 변경하면서 유사한 채널을 계속 만들어 사기행각을 벌이고 있다는 게 금감원 측의 설명이다.
금감원 측은 “전 금융회사에 자사를 사칭하는 채널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조치 완료했고 새로 개설되는 사칭 채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요청했다”며 “SNS 서비스에서 금융회사 등을 사칭하는 채널을 구별해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을 집중 홍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사칭 전화·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 등에서 개인정보를 요구하면 거절하고 금융사기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고 3일 강조했다.
사기범들은 인터넷에서 대출 정보를 검색하는 피해자에게 접근해 은행 직원임을 사칭해 카카오톡 상담 채널로 유도한다. 카카오톡 채널 프로필에는 실제 금융회사 로고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금융 소비자들을 기망한다. 특히 채널명을 변경하면서 유사한 채널을 계속 만들어 사기행각을 벌이고 있다는 게 금감원 측의 설명이다.
금감원 측은 “전 금융회사에 자사를 사칭하는 채널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조치 완료했고 새로 개설되는 사칭 채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요청했다”며 “SNS 서비스에서 금융회사 등을 사칭하는 채널을 구별해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을 집중 홍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